동영상
<앵커>
법정관리에 들어간 한진해운 소속 선박의 절반 정도가 수출 상품을 그래도 실은 채 바다 위에 멈춰 섰습니다. 당초 예상보다 혼란은 커지고 있는데 정부는 뾰족한 대책을 내놓지 못하고 있습니다.
박민하 기자입니다.
<기자>
한진해운의 법정관리에 대한 정부의 초기 인식은 안이했습니다.
[정부 관계자 (법정관리 신청 당일) : 이미 (해운 운임이) 40%~50% 폭등하고 어쩌고 하지만 그거 해봐야 며칠 잠깐이에요. 그렇게 오래가지는 않아요.]
하지만 법정관리 닷새만에 입출항이나 하역 작업 거부 등으로 멈춰 선 한진해운 배는 68척으로 늘었습니다.
특히 컨테이너선의 경우 3분의 2가 발이 묶였습니다.
[한종길/성결대 동아시아물류학부 교수 : 항만에서의 하루 지체는 생산이나 소비 현장에서 3일에서 열흘 이상의 지체, 과잉재고나 재고부족을 의미합니다.]
정부가 긴급회의를 소집하고 물류혼란을 최소화하기 위한 관계부처 합동대책팀을 꾸리기로 했습니다.
재외공관별로 현지대응팀을 구성해 한진해운 선박이 조속히 입항해 화물을 하역하도록 상대국 정부와 협의하기로 했습니다.
하지만 한진해운 선박 억류를 풀고 하역이 이뤄지도록 하는 데 필요한 자금 대책은 마련하지 못했습니다.
당장 하역료 등 2천억 원 이상이 필요한 것으로 알려졌는데, 정부는 대주주가 나서는 게 우선이라며 한진그룹을 압박했습니다.
[김영석/해양수산부 장관 : 특히 선의의 피해를 입을 수 있는 화주 등을 위해 한진해운의 책임 있는 자세와 협조를 당부드립니다.]
이런 가운데 미국 소매업계가 미국 정부가 나설 것을 요청하는 등 세계적인 물류 혼란 우려도 커지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