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영상
<앵커>
온 나라를 혼란에 빠뜨렸던 메르스 같은 신종감염병에 효과적으로 대처하기 위해서 정부가 방역체계를 대대적으로 바꾸기로 했습니다. 무엇보다 이번 메르스 사태 때 격리 환자를 치료하는 음압 병상이 100여 개에 불과해 어려움을 겪었는데, 앞으로는 전국 병원에 1인실 음압 병상을 1,500개까지 늘리기로 했습니다. 또 감염병 발생 원인을 파악하고 방역 대책을 세우는 역학조사관 수도 2배로 늘리기로 했습니다.
권란 기자가 자세한 내용 전하겠습니다.
<기자>
한 대형병원 응급실 앞 선별진료소입니다.
메르스 사태 이후 이 병원은 응급실을 찾는 환자는 반드시 예진을 받고, 보호자도 1명만 동행하도록 했습니다.
선별된 진료소 안에는 음압 병상까지 설치해서 대비하고 있습니다.
앞으로 이렇게 병원 응급실 앞에 선별 진료소 설치가 의무화됩니다.
병상이 300개가 넘는 종합병원은 1인실 음압 병상을 의무적으로 설치해야 합니다.
조사 역량을 높이기 위해 공중보건의로 구성돼 있던 역학조사관을 정규직으로 채용해 64명까지 늘리기로 했습니다.
메르스 사태 당시 가장 큰 논란이 됐던 컨트롤 타워, 방역의 지휘 주체는 질병관리본부가 맡기로 했습니다.
본부장은 차관급으로 격상했습니다.
[정진엽/보건복지부 장관 : 역할을 명확히 하여 지휘와 명령체계의 혼란이 없도록 하겠습니다.]
하지만, 질병관리본부를 복지부 소속으로 두기로 해 유사시 즉각 대응이나 자율적인 판단이 가능할 지 실효성에 대한 논란은 여전합니다.
메르스 확산의 주된 원인으로 지목된 환자들의 대형병원 쏠림 현상이나 면회제한 같은 간병 문화에 대한 구체적인 대책은 마련되지 않았습니다.
음압 병상 설치비용은 지원되지만, 유지 비용이 만만치 않아서 민간 병원의 부담이 될 수 있다는 지적도 나옵니다.
(영상취재 : 신동환, 영상편집 : 김종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