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BS 뉴스

뉴스 > 경제

'금리 유목민'이 떠돈다…증권사·저축은행에 뭉칫돈

입력 : 2015.03.17 06:17|수정 : 2015.03.17 08:00

"은행고객 끌어와라"…안정형 투자상품 '3초 매진'


직장인 김 모(40)씨는 살아오면서 주식이나 금융투자상품은 한 번도 손대보지 않고 급여통장에 들어온 돈을 꼬박꼬박 은행 예·적금으로만 굴려왔습니다.

2000년대 중반 '펀드 광풍'이 불어 너도나도 펀드에 가입할 때조차 눈길 한 번 돌리지 않고 은행 예·적금으로 차곡차곡 결혼자금을 모았습니다.

그런 그가 최근 한국은행이 기준금리를 사상 최저치인 1%대로 내리면서 '이대로 재테크를 해서는 안 되겠다'고 결심했습니다.

김 씨는 "성격상 투자상품은 처다보지도 않았는데 2%도 안 되는 예금 금리로는 내 집 마련 자금은커녕 오르는 전세금도 모으기가 까마득해 보인다"며 "안정성은 어느 정도 보장하면서 금리는 은행 예금보다 높은 상품이 없나 재테크 정보를 찾아보는 중"이라고 말했습니다.

금융권에 따르면 초저금리 기조가 강화되면서 투자에 보수적이던 금융소비자들도 재테크 전략을 바꾸고 있습니다.

수익률이 2%대 중반∼3%대 수준인 상품이더라도 안정성이 보장되기만 한다면 이제는 '완판 행진'을 거듭할 정도로 귀한 대접을 받게 된 것입니다.

증권사 등 금융투자업계에서도 김 씨와 같은 보수적인 금융소비자를 끌어오기 위해 안정성은 높으면서도 은행 예금보다는 높은 수익률을 제공하는 특판 상품들을 선보이고 있습니다.

은행 정기예금에 뭉칫돈을 묻어 뒀던 소비자가 관심을 둘 만한 상품으로는 우선 일부 증권사들이 내놓은 특판형 환매조건부채권(RP)이 눈에 띕니다.

대우증권은 매주 100억 원 한도로 특판 상품인 '특별한 RP'를 판매하는데 월요일 상품 발매일마다 '매진 사례'를 반복하고 있습니다.

우량 채권을 담보로 편입해 안정성이 높은 반면 세전 연 3.0%(만기 3개월)의 수익률을 얻을 수 있기 때문입니다.

대우증권 관계자는 "신규 고객에 한정해 개인당 1억 원 한도로 판매하는데 발매 후 3초면 전량 소진된다"고 전했습니다.

원금보장형 파생결합상품도 인기몰이를 하고 있습니다.

NH투자증권이 지난 1∼2월 각각 사흘간 두 차례 모집한 CD금리 연계 파생결합사채(DLB)에도 총 4천360억 원이라는 뭉칫돈이 몰렸습니다.

3개월 만기인 이 상품은 원금이 보장되는데 은행 예금보다 높은 연 2.4∼2.51%의 수익률을 얻을 수 있다는 소식에 청약경쟁률이 5∼7대 1로 치솟았습니다.

신한금융투자증권이 내놓은 롱숏 주가연계 파생결합사채(ELB)는 단일 상품으로 올해 들어서만 7천억 원을 판매할 정도로 관심이 뜨겁습니다.

원금을 보장하면서 연평균 7∼8%의 수익률을 추구하는 것이 인기의 비결입니다.

다만, 고객의 환매 여부에 따라 원금 손실이 발생할 수 있는 점에 주의해야 합니다.

원금 손실 우려에 주가연계증권(ELS) 투자를 망설이는 소비자를 위해 손실액 규모를 제한하는 상품도 출시되고 있습니다.

삼성증권이 내놓은 '원금부분보장형 ELS'는 일반적인 '스텝다운형' ELS 상품과 같이 6개월마다 연계지수가 95%(6·12개월), 90%(18·24개월), 85%(30·36개월) 이상이면 연 수익률 8∼9% 수준으로 상환해줍니다.

다만, 주가가 급락하더라도 원금의 80%를 보장해 주는 것이 특징입니다.

은행의 수시입출금식 계좌의 대안으로는 증권사의 종합자산관리계좌(CMA)가 인기를 끌어왔습니다.

그러나 이번 기준금리 인하로 금주부터 기본금리가 연 1%대 중반으로 하락해 매력도가 떨어진 상황입니다.

다만 대우·현대·미래에셋 등 일부 증권사는 자동이체나 연계 카드 사용 등 일정 조건을 만족하면 수백만 원대의 일정 한도액에 한해 최대 5.5%의 우대금리 혜택을 제공하므로 젊은 직장인이라면 눈여겨볼 만합니다.

한편 어려운 금융상품 용어 탓에 증권사의 문턱이 높다고 여겨지는 금융소비자들은 5천만 원 한도까지 예금자보호가 되는 저축은행 예금 상품으로도 여전히 발길을 옮기고 있습니다.

저축은행에는 한은이 기준금리를 1.75%로 낮춘 이후에도 예금금리는 연 2% 후반대, 적금금리는 연 3% 후반대를 주는 곳이 아직도 많습니다.

(SBS 뉴미디어부)
SBS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