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BS 뉴스

뉴스 > 경제

7대은행 주택담보대출 1∼2월 3조4천억 원↑…지난해의 8배

입력 : 2015.03.01 11:38|수정 : 2015.03.01 11:38


주택담보대출이 올해 들어서도 폭발적인 성장세를 이어가고 있습니다.

이 추세를 이어간다면 지난해보다 가계대출이 더 늘어나는 것은 물론 2011년의 기록을 깨고 사상 최대 증가액 기록을 세울 전망입니다.

그렇지 않아도 심각한 가계빚 관리에 연초부터 '빨간불'이 켜진 셈입니다.

국민, 신한, 우리, 하나, 농협, 기업, 외환은행 등 7대 시중은행의 주택담보대출 잔액은 지난해 말 316조4천539억 원에서 지난달 말 319조9천억 원으로 늘어 올해 들어 3조4천481억 원 증가했습니다.

이는 4천230억 원에 그쳤던 지난해 1~2월 주택담보대출 증가액의 8.2배에 달하는 것으로, 1~2월 증가액으로 따지면 사상 최대입니다.

지난해 1월의 경우 7대 은행의 주택담보대출 잔액이 7천650억 원 줄어들었으나, 올해는 9천613억 원 증가했습니다.

통상 1월에는 연말 상여금 등으로 대출금을 갚는 사람이 많고 추운 날씨에 이사 수요도 적기 때문에 주택담보대출이 감소하지만, 올해는 이례적으로 늘어났습니다.

연초부터 주택대출 수요가 그만큼 강했다는 뜻입니다.

2월 증가액은 아예 급증 추세를 보였습니다.

지난해 2월 주택담보대출 증가액은 1조1천880억 원에 그쳤으나, 올해 같은 달에는 그 2배가 넘는 2조4천868억 원에 달했습니다.

이는 지난해 봄 이사철 성수기보다도 많은 증가액입니다.

지난해 3월 주택담보대출 증가액은 1조5천616억 원, 4월은 2조2천667억 원, 5월은 1조7천715억 원이었습니다.

더구나 지난해 2월에는 설 연휴가 없어 은행 영업일이 20일에 달했고, 올해 2월에는 설 연휴가 있어 영업일이 17일에 그쳤다는 점을 감안하면 2월 주택담보대출이 폭발적으로 증가했음을 알 수 있습니다.

박원갑 국민은행 부동산 수석전문위원은 "전셋값 급등을 견디다 못한 세입자들이 낮은 금리로 대출을 받아 집을 속속 사고 있다"며 "전세난이 쉽사리 해결될 조짐을 보이지 않기 때문에 올해 주택대출은 지난해보다 더 늘어날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습니다.

문제는 이미 한계점에 도달했다는 우려를 낳고 있는 가계빚이 올해도 급증할 경우 경제에 심각한 부담이 될 수 있다는 점입니다.

지난해 말 가계부채 잔액은 1천89조 원으로 한해 동안 무려 67조6천억 원이 늘었습니다.

이는 가계부채 연간 증가액으로는 사상 최대였던 지난 2011년의 73조 원에 육박하는 수치입니다.

은행권 가계대출의 95%는 주택담보대출이 차지합니다.

이를 감안하면, 지난해보다 증가액이 훨씬 큰 주택담보대출의 급증세가 계속될 경우 올해 가계대출 증가액은 2011년을 넘어 사상 최대치를 기록할 전망입니다.

박창균 중앙대 교수는 "지난해에는 소득보다 부채가 늘어나는 속도가 더 빨랐는데, 올해도 지난해와 달라질 이유를 찾을 수 없다"며 "올해도 지난해처럼 소득보다 가계부채 증가율이 더 높을 것"이라고 전망했습니다.

지난해 근로자 실질임금 상승률은 3년 만에 가장 낮은 수준인 1.3%에 불과했습니다.

반면, 가계부채는 2013년 말 962조9천억 원에서 지난해 말 1천29조3천억 원으로 늘어 6.9% 급증했습니다.

지난해 가계부채 증가율이 실질임금 상승률의 무려 5배에 달한 셈입니다.

이처럼 소득 정체에도 불구하고 빚 부담이 갈수록 커지는 가계가 씀씀이를 대폭 줄일 경우 우리 경제는 심각한 내수 위축이 우려됩니다.

실제로 지난해 가계 평균소비성향은 관련 통계 집계 이래 역대 최저치인 72.9%로 떨어졌습니다.

평균소비성향은 처분 가능한 소득에 대한 소비 지출액의 비율을 뜻합니다.

김상조 한성대 교수는 "금융당국은 2%대 주택대출 출시 등 대출자의 이자 부담을 낮추는 대책을 추진하고 있는데, 이는 대출자들이 돈을 더 빌리게 만들어 가계대출 규모를 더 키우는 역효과를 불러올 수 있다"며 "지금이라도 문제의 심각성을 인식하고 가계부채 총량을 줄일 수 있는 방안을 시급히 도입해야 한다"고 밝혔습니다.

(SBS 뉴미디어부)
SBS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