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영상
<앵커>
입석 승객을 태우고 고속도로를 달리는 수도권 광역버스의 안전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정부가 대책을 내놨습니다. 대책이 출퇴근 시간에 맞춰 버스를 집중투입하는 방식인데, 벌써부터 미봉책이라는 비판이 나왔습니다.
한상우 기자입니다.
<기자>
지난 4월 세월호 사고 직후 정부는 갑자기 입석 운행을 중단시켰습니다.
하지만 반발이 거세자 하루 만에 없던 일로 만들었습니다.
정부가 어제(10일) 새로 내놓은 대책은 출퇴근 시간에 전세 버스 등으로 2백22대를 증편해 입석 운행을 없애겠다는 겁니다.
하지만 실효성에 의문이 제기되고 있습니다.
출퇴근 시간에 광역 버스를 이용하는 11만 명 가운데 1만 5천여 명이 입석 승객으로 파악되고 있는데, 이번 증차 방안으로는 감당하지 못한다는 겁니다.
[강근우/경기도 용인시 : 출근 시간 10분이라는게 직장인들한테는 엄청 소중하거든요, 대기 시간이 길어지고 앉아오는 것보다는 개인적인 입장으로는 서서 오더라도 입석으로라도 빨리 오는 게 낫다고 생각합니다.]
전세버스를 확보하기도 쉽지 않습니다.
[수도권 운송업체 관계자 : 전세버스 업체에서는 임대료를 비싸게 달라고 하고 운수업체는 비싼 임대료를 지불 할 수 없기 때문에 전세버스 구하기가 상당히 어렵습니다.]
입석 운행 문제를 근본적으로 해결하기 위해서는 이른바 '허브' 정류장을 중심으로 한 대대적인 노선 개편이 필요하다는 주장이 나오고 있습니다.
버스 노선을 통폐합하고, 마을 버스가 허브 정류장까지 승객을 실어나르는 방식입니다.
이와 함께 버스 요금 현실화나 지자체의 지원 확대 같은 재원 확보 방안도 중장기적으로 풀어야 할 과제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