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BS 뉴스

뉴스 > 경제

달리고 싶은 '전기 자전거'…제도는 제자리에

한주한 기자

입력 : 2014.05.25 21:06|수정 : 2014.05.25 21:06

동영상

<앵커>

페달을 힘들게 밟지 않아도 잘 달리는 전기 자전거에 대한 인기가 높아지고 있습니다. 그런데 제도가 갖춰지지 않아서 자전거길을 달릴 수 없는 실정입니다.

한주한 기자입니다.

<기자>

직장인 황대순 씨는 매일 전기 자전거로 출퇴근합니다.

20km가 넘는 장거리 출근길도, 경사가 급한 언덕길도 전기 자전거로는 거뜬합니다.

[황대순/서울 양천구 목동서로 : 버스나 지하철이 많이 혼잡한데 편하게 출근할 수 있다는 게 가장 큰 장점인 것 같습니다.]

친환경 교통수단에 관심이 높아지면서 전기 자전거의 올해 판매량은 지난해보다 70% 늘어난 1만 7천 대로 예상됩니다.

세계 시장에서도 해마다 7%씩 판매가 늘고 있습니다.

하지만, 국내 제도적 여건이 발목을 잡고 있습니다.

우선 오토바이와 마찬가지로 원동기 면허를 취득해야 하는 등 규제가 심합니다.

매니아들에게 인기 있는 자전거 전용도로를 달려서도 안 되고, 거친 차량을 피해 보도를 주행해서도 안 됩니다.

실제 서울 금천구는 주민편의를 위해 전기 자전거 36대를 마련했지만 이런 규제 때문에 활용도 못 한 채 방치해 놓고 있습니다.

정부는 속도를 시속 25km로 제한하는 조건으로 일반 자전거처럼 취급하는 법 개정을 추진 중이지만, 국회 통과는 차일피일 미뤄지고 있습니다.

기업과 소비자는 뛰는데, 제도가 받쳐주지 못하면서 이용자는 불편해지고 산업의 성장 기반은 흔들리고 있습니다.

(영상취재 : 조창현, 영상편집 : 박정삼) 
SBS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