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BS 뉴스

뉴스 > 사회

지하철 안전대책 내놓긴 했는데…'미봉책' 논란

최효안 기자

입력 : 2014.05.10 07:40|수정 : 2014.05.10 07:40

동영상

<앵커>

지하철 추돌 사고 일주일 만에 서울시가 개선책을 내놓았습니다. 노후 전동차를 교체하겠다는 것인데, 기존의 계획을 되풀이했다는 비판이 나오고 있습니다.

최효안 기자입니다.

<기자>

서울시가 발표한 지하철 안전대책의 핵심은 노후 전동차를 빨리 교체하겠다는 것입니다.

사고의 원인이 신호기 고장이었던 만큼, 신호기가 없어도 되는 자동운전장치, 즉 ATO가 장착된 전동차 도입을 예정보다 앞당긴다는 것입니다.

[박원순/서울시장 : 무엇보다 오래된 노후 전동차는 전면 교체해 나갈 생각입니다. 원래 계획보다 앞당겨 교체해서 시민 불안을 덜겠습니다.]

이에 따라 2호선은 2020년까지 노후 전동차 500량이, 3호선은 2022년까지 150량이 교체됩니다.

노선별로 따로 운영되는 관제센터도 오는 2019년부터는 하나로 통합한다는 계획입니다.

또, 민간외부전문가 200명을 자문단으로 구성해 신호와 차량 등 주요 분야를 특별점검할 예정입니다.

그러나 이런 안전 대책 상당수가 중장기 계획으로 이미 추진되던 사업을 보강하는 수준이어서, 서둘러 마련된 미봉책이란 지적도 있습니다.

[박흥수/사회공공정책연구소 철도정책 연구위원 : 이 사고가 유발됐던 외주화 부분, 또 인력 감축 부분에 대해선 재검토하겠다고 나왔는데, 이 재검토가 아닌 근본적인 개선 대책이 명확히 발표 되지 않았던 것은 아쉬움이라고 봅니다.]

장정우 서울메트로 사장이 사표를 제출한 것에 대해 박원순 시장은 사고 수습이 마무리된 뒤 수리하겠다고 밝혔습니다. 
SBS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