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BS 뉴스

뉴스 > 사회

수사본부, 선박 개조·적재 적정성 조사

입력 : 2014.04.28 19:30|수정 : 2014.04.28 19:30

구명벌정비업체 포함 관계자 9명 참고인 신분으로


세월호 침몰 사고의 원인을 조사 중인 검경 합동수사본부가 앞으로 어느 쪽에 수사 초점을 맞출지 관심이 쏠리고 있다.
   
이미 주요 승무원 15명을 모두 구속하고 세월호와 교신한 목포해경과 전남도소방본부 119상황실을 압수수색함으로써 수사본부는 수사에 속도를 내고 있다.
   
이제 남은 것은 배 개조, 적재, 구명설비 등의 분야다.
   
수사본부는 지난 26~27일 사이 세월호 화물 적재·결박업체인 우련통운, 선박 개조·설계업체인 CC조선, 구명벌 정비업체 관계자 등 9명을 참고인 신분으로 불러 조사했다.
   
28일에도 정비검사업체 관계자 2명을 참고인으로 불러 조사한 것으로 알려졌다.
   
수사본부는 이날 전남도소방본부 119상황실과 목포해경 상황실 외에도 선박 안전검사업체 2곳을 압수수색한 것으로 전해졌다.
   
수사본부는 압수한 물품과 참고인 진술 등을 토대로 개조 과정에서 설계나 시공이 적절했는지, 화물을 과다 적재하거나 결박을 소홀히 한 것은 없는지, 구명장비 작동에 이상이 없는지 등을 살펴볼 계획이다.
   
조사 과정에서 청해진해운 임원이 최대 적재량보다 더 많이 적재할 방법을 배 복원성 검사업체에 문의했다는 진술이 나온 것으로 알려졌다.
   
복원성 검사업체 관계자는 세월호 최대 적재량인 1천77t을 넘으면 복원성 규정에 맞지 않아 사고 위험이 있음을 알린 것으로 전해졌다.
   
이에 따라 수사당국이 청해진해운이 평소에도 과다 적재했다는 의혹을 풀 수 있을지 이목이 집중되고 있다.
   
현재까지 조사한 인원은 전체 생존선원 20명, 청해진해운 관계자 12명, 안전검사업체 등 관련업체 직원 27명에 이르는 것으로 알려졌다.
   
또 수사본부는 사고 당시 상황을 파악하고자 생존승객 154명 가운데 본인 동의를 얻어 성인 33명을 조사한 것으로 전해졌다.
   
수사본부 관계자는 "구체적인 수사 내용은 밝힐 수 없으며 적합한 방식으로 수사하겠다"고 밝혔다.
   
(목포=연합뉴스)
SBS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