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영상
<앵커>
고압 전선을 다루는 노동자들이 매년 수십 명씩 다치거나 숨지고 있습니다. 대부분 감전사고 입니다. 협력업체 노동자들의 인명사고는 이렇게 해마다 되풀이 되고 있는데, 이런 사실이 보고조차 되지 않고 있습니다.
심영구 기자가 보도합니다.
<기자>
지난달 8일 부산의 한 변전소에서 보수 작업을 하던 구모 씨가 2만 볼트 넘는 고압 전류에 감전돼 나흘 만에 숨졌습니다.
한전 집계에 따르면 최근 5년 동안 한전의 송배전 공사를 하다 숨진 사람은 16명, 부상자는 12명입니다.
그런데 전기 사고를 총괄하는 전기안전공사의 집계는 사망자 27명, 부상자 184명입니다.
한전 집계보다 사망자는 11명, 부상자는 172명이나 많습니다.
왜 이런 차이가 생긴 걸까.
[협력업체 관계자 : 그런 사고가 나면 회사 문 닫아야 하거든요. 왜냐면 입찰할 수가 없어요. 무조건 안 나야 하는 거죠, 사고가. (일일이 보고하기엔) 어려움도 사실 있죠.]
협력업체가 사고 사실을 한전에 다 보고하지 않는 겁니다.
한전의 협력업체 업무 처리 기준을 보면 사고로 2명 이상 숨지면 계약을 해지하고, 1명만 부상당해도 최대 보름까지 공사를 중단시키는 처벌 조항이 들어 있습니다.
협력업체가 사고를 쉬쉬하는 이유입니다.
이뿐만이 아닙니다.
고압선 공사를 하려면 면허가 있는 인력이 7명 이상 필요한데 훨씬 적게 투입한다는 게 현장 노동자들의 증언입니다.
[현장 노동자 : 여기 인원이 한 3,4명 더 필요해요. 업체 입장에선 (규정대로 하는 게) 굉장히 힘든 일이죠.]
건설노조가 파악한 결과, 한전에 신고된 인원의 1/3가량은 서류상으로만 존재합니다.
공사투입 인력을 속이고 적은 인원으로 공사하니 사고로 이어진다는 게 노조 측 주장입니다.
[전순옥/민주당 의원 국회 산업통상자원위 : 이 책임은 한전이 전원 져야 한다고 생각하고, 한전이 이 문제에 대해서 좀 심각하게 받아들여서 검토가돼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하지만 한전은 책임질 게 없다는 입장입니다.
[홍호웅/한국전력공사 안전재난관리팀장 : 저희한테 신고를 안 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다양한 채널을 통해서 그것을 밝혀내가지고 업체를 제재하는 방법도 동원하고 있습니다.]
인사 사고만큼은 숨기면 제재와 처벌을 받는다는 상식에 맞는 대책이 시급합니다.
(영상취재 : 제 일, 영상편집 : 박진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