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영상
<앵커>
정부가 세제 개편안을 발표하면서 세 부담 기준액으로 정한 연봉 3천 450만 원을 두고 말들이 많습니다. 3천 450만 원 이상 근로자는 전체 1천 5백만 봉급근로자의 상위 28%를 차지합니다. 어찌 보면 이들이 세금을 좀 더 부담하는 게 하위 72%를 위해서 당연한 것 처럼 보입니다. 하지만 정작 상위 28% 근로자의 주머니 사정은 어떨까요?
권태훈 기자가 집중 취재했습니다.
<기자>
지난해 세전 6천만 원을 조금 넘게 받았던 한 중견기업 과장 김형수 씨, 내년부터 세 부담이 더 늘어난다는 말에 마음이 편치 않습니다.
[김형수/회사원 : 중산층은 아니라고 생각하고요, 서민입니다. 제 월급으로는 아파트 대출 이자도 갚아야하고, 아들 교육비도 나가야하고…]
정부 기준에 따르면, 김과장은 중산층을 넘어 '고소득자'로 분류됩니다.
4인 가구 기준 월소득이 중위 소득자의 50% 범위를 더 넘어서면 고소득자로 분류하는 OECD 기준을 쓰고 있기 때문입니다.
이 기준에 따르면, 4인 가족 연소득이 6천만 원을 넘으면 '고소득층'이 됩니다.
하지만 여기엔 자산 보유 여부나 가계부채 등이 반영돼 있지 않다 보니 많은 사람이 체감하는 것과 다를 수밖에 없습니다.
[이준협/현대경제연구원 연구위원 : 우리나라는 사교육비와 주거비가 높고 또한 노후 준비가 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본인은 고소득층임에도 불구하고 중산층이라고 생각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한 설문 조사 결과 4인 가족 기준으로 연소득이 7천만 원 이상은 돼야 중산층이라는 사람이 44%, 1억원 돼야 한다는 사람도 26%나 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결국, 정부가 사용하는 통계상의 중산층 개념과 국민이 느끼는 체감 중산층 간의 괴리가 이번 세제개편안에 대한 거센 반발을 불러오고 있습니다.
(영상취재 : 박승원, 영상편집 : 김종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