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BS 뉴스

뉴스 > 사회

'트램펄린' 어린이 사고 속출…안전 기준 없어

이호건 기자

입력 : 2013.05.01 07:48|수정 : 2013.05.01 08:01

동영상

<앵커>

이른바 퐁퐁, 방방이라고 하는 놀이기구 트램펄린을 타다가 아이가 다치는 사고가 늘고 있습니다. 그냥 타박상이 아니라 뼈가 부러질 정도인데 안전 기준 자체가 없습니다.

이호건 기자입니다.



<기자>

트램펄린 위에서 뛰어놀던 아이가 갑자기 옆면을 들이받고 고꾸라집니다.

해외 비디오의 한 장면이지만, 우리 주변에서도 있는 일입니다.

직장인 A씨의 9살 난 아들도 지난 1월 트램펄린에서 뛰어 놀다 옆면에 부딪혀 크게 다쳤습니다.

[A씨/피해 아동 아버지 : 두 개 뼈가 완전히 다 부러져가지고. 병원에선 보더니 도대체 어떻게 다친 거냐고 물어볼 정도로…높은 데서 떨어진 걸로 알고 계셨어요.]

지난 2010년부터 한국소비자원에 접수된 트램펄린 사고는 모두 277건.

나이가 어린 아이들일수록 사고가 많았고, 전체의 30%는 골절 이상의 중상이었습니다.

서울 강서구의 한 트램펄린 시설을 찾아가봤습니다.

스프링 연결고리가 벌어져 소비자원 지적을 받았던 곳.

연결고리는 교체됐지만, 매트엔 여전히 구멍이 나 있고, 천장엔 쇠파이프가 지나다녀 보기에도 위험합니다.

성장판을 자극해 키가 커진다고 광고하지만, 이곳에서 다친 아이는 오히려 성장판 손상으로 수술까지 받았습니다.

[트램펄린 업주 : 그건 본인 실수죠. 본인이 그렇게 한 걸 어떻게 다 (보상) 해줘요.]

사고가 속출하고 있지만, 트램펄린과 관련된 안전규정이나 점검은 사실상 전무한 실정입니다.

트램펄린이 법적으로 놀이기구로 분류되지만, 안전성 검사대상이 아니기 때문.

소비자원은 관련 부처에 트램펄린 안전 관리 기준을 마련할 것을 건의하겠다고 밝혔습니다.   
SBS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