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영상
<앵커>
초등학교 아이들에게 돈을 주면 낭비할 수도 있고 또 위험하기도 해서 티머니 카드를 충전해 주는 부모님들, 이 뉴스 잘 보셔야겠습니다. 아이들이 티머니 갖고 깡을 하고 있습니다.
채희선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기자>
서울의 한 초등학교 인근 편의점입니다.
아이들이 자주 티머니 카드를 가져가서 현금으로 환불받는다는 곳입니다.
[서울 00 초등학교 4학년 : 그냥 (편의점) 가서 (환불) 하면 되는데? 그냥 티머니 카드에 있는 돈 좀 빼달라고 그러면, 수수료 500원 받고 빼줘요.]
아이들이 이렇게 속칭 '티머니 깡'을 하는 이유는 뭘까?
[서울 00 초등학교 4학년 : 저는 뽑기하고 PC방 가요.]
[서울 00 초등학교 5학년 : 게임에 미친 사람들은 게임머니 사겠죠. 몰래 하면 일단 언제까진 들키진 않을 수 있는데 엄마 아빠가 확인하면 끝나죠.]
어린이가 부모 몰래, 카드를 현금화해 게임에 쓴다는 얘기입니다.
부모의 동의를 받아 이런 티머니 깡이 가능한지 확인해봤습니다.
[초등학생 : 혹시 티머니 카드에서 5천 원만 빼주실 수 있어요?]
[편의점 직원 : 그러면 5천 원은 현금으로 드리고 남은 1천 원은 다시 충전해 드릴게요.]
수수료 500원만 내면 티머니에 충전된 돈 일부를 받을 수 있는 겁니다.
[김중선/서울 수유동 : 많이 놀랐죠. 미성년자잖아요, 나쁜 용도로 쓴다면 학부모 입장에서는 참 큰 문제라고 생각합니다.]
가맹점이나 한국 스마트카드 측은 막을 방법이 없다고 말합니다.
[편의점 직원 : (본사 방침이) 없기도 하고 어머니들이 와서 환불해 주지 말라는 말도 없거든요.]
[한국스마트카드 직원 : (전자금융거래)법에 따라서 누구든지 가리지 않고 전자금융화폐는 환불 해줄 수밖에 없습니다.]
문자 메시지를 통해 자녀의 카드 사용 내용 등을 부모에게 알려주는 게 하나의 대안입니다.
더 많은 아이들이 편법에 길들기 전에 대안 마련이 필요하다는 지적입니다.
(영상취재 : 설민환·김현상, 영상편집 : 박춘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