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BS 뉴스

뉴스 > 생활·문화

눈 녹이려 뿌린 '염화칼슘' 도심 파괴의 주범

김현우 기자

입력 : 2013.01.09 07:35|수정 : 2013.01.09 08:50

동영상

<앵커>

제설제가 눈을 녹여주는 건 좋은데 문제가 하나 둘 생기면서 도심 속 골칫거리가 되고 있습니다. 독한 소금물 때문에 가로수가 말라 죽고 도로가 패이고 있습니다.

김현우 기자입니다.



<기자>

서울 덕수궁길입니다.

가로수 주변에 쌓인 눈속에 제설제인 염화칼슘이 뒤섞여 있습니다.

눈이 녹으면서 제설제도 가로수 주변 땅속으로 그대로 스며들고 있습니다.

2010년 겨울 눈이 많이 내린 뒤 이듬해 여름, 서울 양재천변 가로수는 절반 이상이 말라 죽었습니다.

올 겨울에도 양재천변에는 제설제가 뿌려져 지금도 곳곳에 염화칼슘 알갱이가 흩어져 있습니다.

순수한 물에선 전기가 흐르지 않지만 염화칼슘이나 염화나트륨 같은 화학성분이 많이 포함된 물일수록 전기가 잘 흐르는 원리를 이용해 제설제가 토양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실험 결과 염화칼슘같은 화학성분이 일반 흙에 비해, 양재천 길에선 25배, 덕수궁 길은 20배나 검출됐습니다.

[김선희/국립산림과학원 농학박사 : 겨울동안에는 잎에 염화칼슘이 묻어도 표시가 안 나지만 3월이 지나면 물리적 탈수가 일어나면서 잎이 갈색이나 노랗게 변한다.]

도로의 지뢰 '포트홀', 즉 도로에 움푹 패인 구멍 역시 제설제가 주범입니다.

눈에 녹으면서 소금물로 변한 염화칼슘이 아스팔트의 취약한 부분을 파고들면서 구멍이 생기는 겁니다.

눈을 녹이겠다며 뿌려댄 제설제가 도심 환경을 해치는 부메랑으로 돌아오고 있습니다.
SBS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