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BS 뉴스

뉴스 > 정치

후보 당락 갈랐던 역대 경선 규칙 사례

한승희 기자

입력 : 2012.05.27 21:12|수정 : 2012.05.27 21:12

동영상

<앵커>

그렇다면 '룰의 전쟁'이라는 말이 나올 정도로 각 주자 진영들은 왜 경선 규칙에 예민한 걸까요? 간단히 말씀드리면 규칙이 경선의 승패에 결정적 영향을 미치기 때문입니다. 우리 정치사를 되짚어보면 경선 규칙이 승부를 가른 사례가 꽤 많습니다.

한승희 기자입니다.



<기자>

지난 1970년 신민당 대선후보 경선 1차 투표에선 예상대로 김영삼 후보가 1위였지만 결선 투표에선 김대중 후보가 1차 투표 3위였던 이철승 후보 표를 흡수해 역전승을 거둡니다.

과반 득표를 못하면 결선 투표를 한다는 경선 규칙 때문에 벌어진 일이었습니다.

지난 2002년 민주당 대통령 후보 경선.

[김영배/민주당 선관위원장(2002년 3월) : 노무현 후보! 득표수 595표!]

울산과 광주 경선을 거치며 거세진 노무현 돌풍이 승패를 갈랐습니다.

국민 선거인단을 도입해 전체 투표의 50%를 반영하고, 16개 시도를 돌면서 현장에서 바로 지역별 경선 결과를 발표하도록 한 경선 규칙이 이변의 시발점이었습니다.

지난 2007년 한나라당 대선 후보 경선.

[박관용/한나라당 선관위원장(2007년 8월) : 이명박 후보가 최다 득표로 우리 한나라당 제17대 대통령 후보로 선출된 것을 선포합니다.]

이명박 후보는 박근혜 후보에게 선거인단 투표에선 433표 뒤졌지만 20%를 반영하는 여론조사에서 크게 앞서 승리했습니다.

정당의 대선 후보 경선에 처음 도입된 여론조사가 승패를 가른 겁니다.

[신 율/명지대 정치외교학과 교수 : 대선주자들은 어떻게든 자신들에게 유리한, 유리하다는 것은 자신이 대선 후보가 되든지, 아니면 상대가 대선 후보로서 가진 입지를 좀 흔들려는 그런 이유 때문에 룰을 바꾸려는
경향이 굉장히 강하죠.]

경선 규칙에 따라 후보들의 유·불리가 달라지고 패자는 뒤늦게 후회해도 소용이 없습니다.

경선 규칙을 둘러싼 힘겨루기에 대선주자들이 사활을 거는 이유입니다. 
SBS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