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 용인의 한 한방제품 매장.
이른 오전부터 제품을 사려는 소비자들로 발길이 끊이지 않는데요.
[박민정/경기도 수원시 영통동 : 아이도 그렇고 아이 아빠도 그렇고 몸이 약해서 한방 재료를 이용했는데 가격도 저렴하고 몸의 피로도 잘 풀려서 꾸준히 이용하고 있습니다.]
제품 경쟁력의 비결은 학생과 교수 등 전문 인력의 끊임없는 연구 개발로 높은 품질을 확보하고, 중간 유통망을 없애 단가를 낮췄기 때문인데요.
이 모든 것은 학교기업이 있어 가능했습니다.
[이민호/경희대학교 한방재료가공학과 연구교수 : 학생들에게 교육적으로 재학 중에 산업현장을 미리 경험할 수 있다는 그런 학생들의 효과가 있고요. 또 학교기업에 참여하는 담당 교수들에게 있어서는 연구하는 교육의 방향들, 연구하는 주제들이 산업현장에 직접 도움이 될 수 있는 쪽으로 연구하는 그런 긍정적인 효과가 있습니다.]
미래의 인재들에게 큰 동기부여가 될 수 있어 의미가 큽니다.
[김지민/한방재료가공학과 4학년 : 우리가 직접 실험하고 가공되는 과정까지 다 보면서 나오는 제품이 시중에 팔리고 있으니까 저희가 뭔가 뿌듯한 느낌이 드는 것 같아요.]
서울의 한 시계주얼리 디자인 런칭 쇼 현장.
은은한 연꽃을 품은 손목시계!
서로가 그리운 듯, 마주 보고 있는 달 문양의 액세서리!
왕관을 연상시키는 고급스런 목걸이까지.
전문가의 손길이 느껴지는 이 디자인들은 사실 한 학교기업의 학생들이 만든 작품인데요.
이미 시중에 선보이고 있거나 곧 판매가 될 제품들입니다.
자신의 작품이 바로 상품화될 수 있고, 제작 전 과정을 모두 접할 수 있어 학생들의 열의가 대단합니다.
[윤혜진/동서울대학 시계주얼리학과 4학년 : 본인들이 직접 디자인하고 이런 작품들을 자신만의 브랜드로 개인 사업을 하고 싶어 하는 학생들이 많아요. 학교기업이라는 곳에서 디자인, 마케팅, 제작까지 다 자기 개인 사업을 나중에 할 수 있도록 배울 수 있는 게 좋은 것 같아요.]
또한 취업의 길도 열려 있어 청년 실업 해소에 큰 힘이 되고 있습니다.
[조선형/동서울대학 시계주얼리학과 교수 : 이번에 저희가 7명을 채용을 했거든요. 그러면 한 업체에서 7명을 채용하기가 굉장히 어렵거든요. 그러니까 청년 실업을 해소할 수 있는 그런 방안 중의 하나가 학교기업이라고 생각합니다.]
취업난이 심각한 요즘, 미리 실무를 익혀 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는 학교기업은 새로운 대안으로 주목받고 있습니다.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