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미국은 우리보다 대화에 한 걸음 더 긍정적인 반응을 보였습니다. 하지만 북한이 먼저 변해야 한다는데는 차이가 없습니다.
워싱턴에서 정승민 특파원이 보도합니다.
<기자>
미국 국무부는 정례 브리핑을 통해 다음달 개최되는 유엔 총회 기간동안 6자회담 참가국간에 회담재개 방안을 논의하게 될 것이라고 밝혔습니다.
특히 6자회담 참가국들간에 대북 대화 가능성을 검토할 것이라고 강조했습니다.
[크롤리/미 국무부 대변인 : 6자회담 참가국들은 북한과 추가 대화가 가능한지 여부에 대해 검토하게 될 것입니다.]
중국의 우다웨이 6자회담 수석대표가 6자회담 재개를 위한 북미 접촉과 사전 예비회담을 촉구한데 대해 미국도 일단 검토해보겠다는 입장을 표명한 것입니다.
하지만 북한과의 대화가 결실을 거둘 수 있을 것이라는 확신을 심어줄 만한 북한의 행동이 전제돼야 한다고 못박았습니다.
미 국무부는 천안함 사태에 대한 북한의 사과가 6자회담 재개의 전제조건이 될 지 여부에 대해선 명확하게 답하지 않았습니다.
다만 북한이 사과할 경우 도발을 중단하고 대화에 응하겠다는 긍정적 징후의 하나로 받아들일 수 있을 것이라고 밝혔습니다.
인도적 차원의 대북 식량 지원에 대해선 북한이 국제사회에 식량 지원을 요청했는지 아직 파악하지 못했다고 밝혔습니다.
다만 과거 세계 식량계획을 톨해 북한에 식량을 지원한 것처럼 언제든지 지원에 나설 용의가 있다면서 식량 지원 가능성을 열어놓았습니다.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