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BS 뉴스

뉴스 > 정치

통일운동에 평생 바쳤지만, 못다 이룬 통일의 꿈

입력 : 2009.08.18 14:30|수정 : 2009.08.18 18:24


김대중 전 대통령의 삶은 통일을 향한 기나긴 여정이었다 해도 과언이 아니다.

유신 때부터 '빨갱이'로 몰려 수차례 고초를 겪었지만 3단계 통일론과 대북 포용 정책의 확고한 신념을 꺾지 않고 마침내 남북 화해협력 시대를 여는 등 통일운동에 평생을 투신했다.

남북문제와 인연을 맺은 것은 해방정국 때 몽양 여운형이 좌·우익을 망라해 구성한 건국준비위원회(건준)에 참여하면서부터.

이후 남로당 간부와의 비밀자금 거래와 관련돼 투옥되기도 했으나 나중에 단순한 대부관계로 드러나 용공혐의가  벗겨지 기도 했다.

오히려 6.25전쟁 직후 북한군에 잡혀가 우익반동이라는 이유로 투옥됐다 총살 직전 탈옥하기도 했다. 

1954년 정치권에 입문한 그는 1971년 신민당 대선후보로 나서 박정희 대통령과 맞붙어 석패한다.

이때부터 그의 정치역정은 가시밭길이었고, 결정적인 순간마다 색깔론과 사상논쟁에 휩싸이게 된다.

대선에서 혼쭐이 난 박 정권이 그를 최대 정적으로 지목, 정치적 탄압을 본격화했고, 그 중심에는 바로 용공 시비가 항상 뒤따라 다녔던 것이다.

1972년 신병치료차 일본에 체류 중이던 김 전 대통령은 이듬해 유신이 선포되자 귀국을 포기하고 반체제단체인 한국민주회복통일촉진국민회(한민통)를 결성하는 등 반유신 활동을 전개하다 당시 정권에 납치당하는 고초를 겪기도 했다.

바로 이 한민통 활동이 사회주의에 공조한 것이 아니었느냐는 비판도 그를 좌익으로 몰려는 세력에게는 좋은 소재가 됐다.

김 전 대통령의 통일정책은 1970년대 야당지도자 때부터 주장해온 '남북연합→연방제→통일국가'를 골자로 하는 3단계 통일론으로 압축된다.

남북정상회의를 최고 의사결정기구로 하는 남북연합을 첫 단계로, 한반도 평화 분위기가 성숙하면 연방제를 만든 뒤 통일국가를 이룬다는 내용이다.

그의 통일론이 빛을 발한 것은 대통령에 취임한 1998년 이후였다.

당선 직후 북한의 도발 불용 등 대북 3원칙을 천명하면서 햇볕정책을 과감하게 실천으로 옮긴 것.

그의 통일정책은 재임기간에도 북한 잠수정 침투와 금강산 관광객 억류,  제1연평해전 등으로 난관에 봉착했지만 대북포용 정책 기조는 포기하지 않았다.

오히려 2000년 3월 남북간 협력 수준을 민간에서 정부로 진전시키겠다는 베를린 선언을 하고 그해 6월 분단 반세기 만에 남북정상회담을 성사시켰으며, 꿈에나 그리던 이산가족상봉과 금강산관광도 실현됐다.

이 공로로 한국인으로선 처음으로 노벨평화상을 수상했고, 햇볕정책은 2003년 참여정부 출범 후에도 계승.발전되면서 2007년 제2차 남북정상회담으로 이어졌다.

하지만 퇴임 후 제1차 남북정상회담 직전 현대가 4억 달러, 정부가 1억 달러를 북측에 몰래 건넨 사실이 밝혀진 데 이어 2006년 북한의 핵실험이 뒤따르면서 그의 햇볕정책과 통일론은 빛이 바랜 채 미완의 숙제로 남게 됐다.

(서울=연합뉴스)

SBS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