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BS 뉴스

뉴스 > 국제

노벨상으로 재입증된 '과학 강국' 일본

입력 : 2008.10.09 14:26|수정 : 2008.10.09 17:11

"과거 실적으로 수상…기초연구 강화해야" 자성론도


올해 노벨상 물리학상 수상자로 마스카와 도시히데(益川敏英·68) 교토(京都)대 명예교수 등 일본인 3명이 선정된데 이어 화학상에서도 시모무라 오사무(下村脩·80) 미국 보스턴대 명예교수가 공동 수상자로 결정되면서 이과계 분야에서의 일본의 저력을 재확인시켜줬다.

시모무라 명예교수가 수상자로 결정됨으로써 일본인 노벨상 수상자는 16명으로 늘게 됐다. 특이 이들 가운데 물리학상 수상자는 7명, 화학상 수상자는 5명으로 과학 분야 수상자가 다수를 차지했다.

그러나 일본이 이런 성과를 거두는 데는 상당한 시간이 걸려야 했다. 장비는 물론 과학 분야에 대한 축적된 지식이 없던 일본은 외국 유학파를 중심으로 이론 물리학 분야를 파고들었다.

아사히(朝日)신문은 "종이와 연필로 시작한 연구가 한꺼번에 꽃을 피웠다"고 의미를 부여했다. 이번 노벨상 수상도 1960, 1970년대의 연구 성과를 인정받아 노벨상 수상자로 선정된 것이기 때문이다. 또 1920년대에 시작된 일본의 양자력 연구는 반도체 물리분야의 기초가 돼서 20세기 말에 정보기술(IT) 사회를 열었다고 일본은 자부하고 있다.

이런 성과를 얻기까지는 연구자들의 집념과 함께 일본 정부의 과학기술 분야에 대한 전폭적인 지원도 큰 역할을 한 것으로 평가되고 있다.

특히 1995년엔 불경기에도 불구하고 과학기술기본법 제정을 통해 관련 예산을 대폭 확충했다. 일본 정부는 2001년 마련한 제2기 과학기술기본계획에서 50년 내에 노벨상 수상자를 30명 정도 배출한다는 목표도 제시했다.

그러나 일본 내에서는 경계의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 이번 4명의 노벨상 수상자의 연구 성과가 현재의 것이 아니라는 점이 큰 이유다. 특히 일본도 최근 들어서는 우수한 젊은이들이 과학 분야를 기피하는 현상이 이어지고 있다는 점도 일본 정부가 걱정하는 점이다.

일본 정부는 2006~2010년 제3기 과학기술기본계획을 통해 연구개발 예산 목표액을 25조엔으로 제시했다. 그러나 지난해 일본의 과학기술 분야 예산은 3.5조엔으로 미국의 17조엔, 유럽연합의 12조엔, 중국의 10조엔에 비해서는 턱없이 부족하다. 이에 따라 일본 언론은 과학기술 분야에 대한 대폭 투자가 필요하다고 거듭 지적하고 있다.

아울러 과학예산도 기초과학보다는 즉각 실용화할 수 있는 응용연구에 집중돼 있는데 대해서도 우려의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 일본 학술회의는 지난 8월 "기초연구의 기반을 소홀히 할 경우 장기적으로는 우리나라의 과학기술 정책에 위기 상황을 초래할 것"이라고 지적했다.

(도쿄=연합뉴스)

SBS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