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BS 뉴스

뉴스 > 경제

"비정규직도 좋아요"…나눌수록 커지는 일자리

남정민

입력 : 2008.09.15 20:52|수정 : 2008.09.15 20:56

동영상

<8뉴스>

<앵커>

비정규직 8백만 시대, 낮은 임금과 고용불안에 힘겨워하고 있는 비정규직 근로자 문제에 대해 우리 사회는 좀처럼 해법을 제시하지 못하고 있습니다. 일자리 시리즈, 오늘(15일)은 마지막 순서로 일자리 선진국들은 비정규직 문제를 어떻게 해결하고 있는지 취재했습니다.

남정민 기자입니다.

<기자>

대학을 졸업한 새내기 동물 사육사 라르손 씨는 올해 봄과 여름을 시간제 근로자로 일하기로 했습니다.

여러 곳에서 일하면서 경험을 쌓은 뒤 원하는 회사에 자리를 잡을 계획입니다.

[빅토르 라르손/동물 사육사 : 경험을 쌓아 이곳에서 시간제로 일하게 됐고 앞으로 기회가 되면 다른 곳에 취직하고 싶습니다.]

젊은이들이 비정규직을 마다하지 않는 현상은 대부분의 북유럽국가에서 마찬가지입니다.

네덜란드에서는 전체 취업자 7백만 명 가운데 절반이 비정규직으로 일합니다.

근로기간만 다를 뿐 비정규직의 임금은 정규직과 비슷합니다.

지난 1982년 과도한 사회보장과 높은 실업률을 극복하기 위해 일자리 나누기를 위한 노·사·정 대타협을 이뤄냈고, 10여 년의 시행착오를 거쳐 차별 없는 시간제 근로를 정착시킨 것입니다.

그 결과 9%를 넘던 실업률은 15년 만에 2% 대로 떨어졌습니다.

[톤 윌트하겐/노동 유연-안정성 연구소장 : 1년안에 임시직·시간제 근로자들의 40%가 정규직으로 이동하고 있습니다. 비정규직을 정규직으로 가는 '징검다리'로 삼는 셈이죠.]

고용의 유연성을 정착시키는 데는 근로자들에 대한 기업들의 치밀한 배려도 한 몫 하고 있습니다.

스웨덴 SAAB의 경우 고용보호 수준은 낮지만 회사가 재취업 알선과 재고용을 책임지고 있습니다.

이 회사는 지금까지 아홉 차례의 구조조정을 겪었지만 협력적인 노사관계를 계속 유지하고 있습니다.

[여란 구스타프손/스웨덴 금속노조 지부장 : 일자리 보존이라는 공동 목표를 위해서 파업과 분쟁보다는 대화와 타협을 중요하게 생각하고 있습니다.]

일자리를 늘리고 사회 변화에 능동적으로 대처하기 위해서는 고용의 유연성 확보가 불가합니다.

하지만 고용의 유연성이 일방적으로 근로자들의 희생만 강요하지 않도록 하려면, 실직을 해도 큰 어려움 없이 다시 일자리를 찾을 수 있는 사회적 안전망이 먼저 확보돼야 합니다.

SBS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