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BS 뉴스

뉴스 > 생활·문화

금강산에서 뤼순까지…떠돌이 고려 범종의 비운

입력 : 2008.06.08 09:01|수정 : 2008.06.08 09:01

북관대첩비 사례와 유사…반환문제 쟁점 부상 가능성


금강산 장안사에서 유실된 것으로 추정되는 고려 범종이 중국의 뤼순박물관에 소장돼 있는 것으로 확인돼 비상한 관심을 불러 일으키고 있다.

뤼순박물관에 소장된 고려 범종의 이름은 기복종. 이 종을 금강산 장안사에서 유실된 것으로 추정하는 근거는 바로 비슷한 시기에 주조된 개성 연복사 신주종의 명문에 나와있다.

명문에 따르면 자정원사 강금강과 좌장고부사 신예 등 원나라 장인이 당시 원나라 순종의 명을 받고 고려에 파견돼 금강산 장안사에서 범종을 만들었다는 기록이 나타난다. 이들 장인은 장안사에 범종을 만들고 귀국하는 길에 고려 충목왕과 덕녕공주의 요청을 받고 고려의 수도 개성에 있는 연복사에 머물려 새로 범종을 만들었다.

중국측에서도 이런 사실은 인정하고 있다. 왕쓰저우 뤼순박물관 연구실 주임은 작년 4월 대련만보와 인터뷰에서 이 종에 대해 "원 순제(순종)가 1346년 사신과 장인을 보내 조선의 금강산에서 주조한 것"이라고 밝힌 바 있다.

이런 역사기록과 언급을 종합해보면 이 종은 금강산 장안사에서 반출된 범종이 거의 확실한 것으로 추정된다.

하지만 이 종이 어떤 경로를 거쳐 금강산에서 뤼순까지 오게 됐는지 그 경위는 분명치 않다.

다만 뤼순박물관 1층 로비에 전시돼 있는 이 종의 안내문은 "일본이 러일전쟁에서 승리한 직후 포교를 위해 다롄에 파견됐던 일본인 승려 아베에이젠이 1906년 인천을 통해 이 종을 들여왔다"고만 반입 경위를 설명하고 있다.

또 이 종의 유래를 다소 구체적으로 기술한 중국측 문헌에 따르면 이 일본인 승려는 1905년 다롄에 일본 사찰인 히가시혼간지를 세운 뒤 자신이 조선에서 포교활동을 하면서 봤던 이 종을 일본 당국에 보고하고 허가를 받아 다롄에 들여온 것으로 기록돼 있다.

따라서 이 종은 1906년 당시까지 금강산 장안사에 걸려 있었지만 인천으로 옮겨진 뒤 다롄으로 반출됐을 가능성이 큰 것으로 보인다.

커즌(Curzon) 후작이 금강산의 장안사와 유점사 등을 둘러보고 내셔널지오그래픽 1924년 10월호에 게재한 기행문에 범종과 관련한 언급이 등장하지 않는다는 점도 이를 뒷받침하고 있다.

장안사는 한국전쟁 당시 화재로 소실돼 축대와 비석 등 일부 문화재만 남아있는 상태로 알려졌다.

구체적인 반출경위가 확인되면 자연스럽게 이 종의 반환문제도 자연스럽게 수면 위로 부상할 것으로 전망된다.

일례로 일본 야스쿠니 신사에 방치돼 있다 2005년 10월 한국을 통해 북한에 반환된 북관대첩비는 이 종이 다롄으로 반출됐던 비슷한 시기인 1905년에 일본군 제2사단장 미요시 중장에 의해 해외로 반출된 문화재였다.

하지만 중국측을 상대로 반환교섭을 벌이는 데는 난관도 예상되고 있다.

이 종이 금강산 장안사에서 주조된 것으로 추정되고 있는 만큼 일단 연고권은 한국이 아닌 북한에 있다는 점에서 북한이 적극적 의지를 보이지 않는 한 한국에서 일방적으로 반환을 요구할 근거가 없기 때문이다.

또 중국이 작년 3월까지 다롄시내의 한 공원에서 일반에 공개됐던 이 종을 문화재로서 가치를 새로 평가해 뤼순박물관으로 옮겨놓은 데다 비록 고려에서 주조되기는 했지만 원나라 황제가 파견한 원나라 장인이 만든 범종이라는 점을 들어 연고권을 주장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다롄=연합뉴스)

SBS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