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BS 뉴스

뉴스 > 경제

[포커스] "송아지 한마리 키우면 월 5만원 남아"

입력 : 2007.11.08 11:28|수정 : 2007.11.08 11:28

동영상

강원 홍천 우시장.

새벽부터 줄지어 들어온 소들이 저마다 맵시를 가다듬고 새 주인을 기다립니다.

하룻 동안 이곳에 들어온 소는 송아지를 합쳐 모두 200여 마리.

이 중 90% 정도가 거래에 성공했지만,문제는 가격입니다.

[최규석/강원도 홍천 : 220만 원에 사서( 225만 원에 팔아...) 5만 원 남겼지. 시세가 내려가 손해 보면서 팔아요.]

추석 대목에 잠시 반등한 것을 빼면 600kg 기준 암소의 가격은 469만 원으로 연초에 비해 최고 78만 원이나 떨어졌습니다.

암송아지는 202만 원으로 85만 원 가격이 내려 약 30%의 하락률을 기록하고 있습니다.

이런 시세라면 송아지 한 마리를 구입해 30개월 키워봤자 비용을 제하고 나면 월평균소득이 고작 3만 원선에 그친다는 얘깁니다.

[이정민/한국농촌경제연구원 : 현재 사육두수는 222만 두로 전 년보다 10% 증가하였으며 수입량은 전년보다 22% 증가하였습니다. 그 결과 쇠고기 총 공급량이 증가하여 현지 산지 가격은 매우 하락한 상태입니다.]

더구나 앞으로 미국산 소고기의 수입이 본격화되고 갈비까지 수입되면 추가 조정은 불가피할 것으로 예상되고 있습니다.

다만 소비가 늘고 있는데다 고급육은 한우가 경쟁력이 있는 만큼 정책적으로 잘만 대응한다면 과거와 같은 한우파동은 피해갈 수 있을 것으로 전망되고 있습니다.

[이정민/한국농촌경제연구원 : 미국산 소갈비의 수입이 재개될 경우 산지 가격은 다시 한번 조정 받을 것으로 예상하고 있습니다. 가격 조정 국면에서는 고급육일수록 가격 변동 폭이 작으므로 농가에서는 고급육 생산에 전념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보입니다.]

따라서 현재 155만 원인 송아지 생산안정 기준가격을 상향 조정해 한우 생산기반이 유지될 수 있도록 해야 할 것입니다.

이와 함께 유통구조를 개선하고 판매망 확보를 통해 한우가 가격 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도록 지원해야 할 것으로 전문가들은 지적하고 있습니다.

관/련/정/보

◆ [포커스] 치솟는 유가…'100달러 시대' 초읽기

◆ [포커스] 지역난방 요금, 유가 따라 8% '껑충'

◆ [포커스] 가구 30% "노후 대비 못 하고 있다"

◆ [포커스] 곡물값 치솟아 바이오 에너지 '시들'

◆ SBSi 신개념 멀티뷰어 'Nview'로 SBS 뉴스 보기!

SBS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