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미얀마의 이번 반정부 시위는 지난 88년 민주화 운동 이후 최대 규모인데요. 급격한 유가인상으로 촉발됐지만 그 이면에는 군정에 대한 강한 불만이 자리하고 있습니다.
송욱 기자입니다.
<기자>
반정부 시위는 지난달 15일 미얀마 군정이 예고 없이 천연가스 가격을 5배, 디젤은 2배나 인상하면서 촉발됐습니다.
유가 인상에 항의하는 민생시위는 전국적으로 번져나갔고, 이 과정에서 민주화 인사 150여 명이 체포됐습니다.
군사 정부는 유가 인상을 완화했지만 이달 초 승려들이 거리로 나서면서 민생시위는 대규모 반정부 시위로 번졌습니다.
[세인 윈/미얀마 야당 지도자 : 군사정권이 경제를 독점하고 있지만 국민 대부분은 아무것도 가지지 못하고 있습니다. 그래서 거리로 나선 것입니다.]
지난 88년 민주화 운동을 강제 진압하면서 집권한 군정은 지난 90년 선거에서 패배했지만 정권을 넘겨주지 않고 있습니다.
노벨 평화상 수상자인 수치 여사는 12년 넘게 가택 연금 상태입니다.
확산일로에 있는 이번 사태에 대해 그동안 미얀마 군정을 눈엣가시로 여겨온 미국과 영국, 프랑스 등 서방 국가들은 미얀마 군정에 대해 비난의 목소리를 높였습니다.
하지만 미얀마에 영향력이 큰 중국과 러시아는 입장 표명을 유보했습니다.
강대국의 이해관계가 얽혀 있는 가운데 이번 사태가 대규모 유혈 충돌 역사의 재연이 될지, 아니면 군정 종식의 계기가 될지 국제 사회의 관심이 집중되고 있습니다.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