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느끼시겠지만 우리의 핵물질 실험 문제가 예상을 뛰어넘는 큰 파장을 낳고 있습니다.
오해를 없애고 국익을 지키기 위해서 정부의 외교력이 어느 때보다 절실합니다.
이성철 기자입니다.
<기자>
원자력의 평화적 이용의 모범국을 자처해 온 한국의 핵 투명성은 위법성 논란에 휘말린 것만으로도 큰 상처를 입었습니다.
북핵 문제에 미친 정치적 파장도 큽니다.
북한이 이른바 ´남핵´문제를 6자회담 거부의 빌미로 삼고있기 때문입니다.
[김태효/외교안보연구원 교수
: 한국의 핵물질 추출문제가 불필요하게 핵개발 의혹으로 번져서는 한미공조와 6자 회담에서 우리 입지를 크게 약화시킬 수 있습니다.]
정부로서는 파장을 최소화해야 하는 절박한 상황이지만, 핵 외교의 사령탑조차 없다는 질타의 목소리가 높습니다.
[강정민 박사/핵
정책 전문가
: 미흡한 설명을 했을 경우에 IAEA가 납득하지 못하기 때문에 추가 사찰을 나오는 것입니다. 결국 정부 대응력이 문제입니다.]
국제사회의 의심의 눈초리에서 벗어나기 위해서는 말보다는 행동, 즉 IAEA를 통해 투명성을 입증하는 길 밖에 없습니다.
일본이 장기적이고 입체적인 노력으로 핵 투명성을 입증해 다양한 의무를 면제받고 있는 것도 되새겨 볼 필요가 있습니다.
이를 위해 원자력과 외교에 모두 정통한 전문인력을 지금부터라도 육성하는 것이 절실한 상황입니다.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