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어젯(13일)밤 군이 전격적으로 군 장성 인사를 발표했습니다. 중장 진급자만 20명으로, 군 전체 중장의 3분의 2 정도를 교체한 셈인데, 육사 출신이 아닌 중장 비율도 늘었습니다.
김수영 기자입니다.
<기자>
국방부가 어젯밤 발표한 중장 진급 인사를 보면, 소장에서 중장으로 진급한 장성은 육군 14명, 해군 3명, 공군 3명 등 모두 20명입니다.
중장 계급장을 단 장성은 군 전체적으로 30여 명인데 이번에 20명의 중장 진급자가 나오면서 3분의 2 정도가 바뀌는 셈입니다.
최근 10년 내 가장 많은 것인데, 12·3 비상계엄 이후 인적 쇄신을 위해 군이 대대적 물갈이 인사를 단행한 것입니다.
앞서 지난 9월 이재명 정부 첫 군 수뇌부 인사에선 합참의장과 육·해·공군참모총장 등 7명의 4성 장군이 모두 교체됐습니다.
이번 인사의 또 다른 특징은 비육사 출신의 등용입니다.
육군 내 비육사 출신 중장은 원래 3명이었지만, 이번 인사로 5명으로 늘었습니다.
실제 계엄 당시 병력을 동원했던 특수전사령부 사령관은 학사장교 출신이, 전방 지역 1군단장은 학군장교 출신에게 맡겼습니다.
국방부 관계자는 최근 5년간 육사와 비육사의 비율이 3.2:1이었지만, 이번 인사로 1.8:1의 비율로 변했다며 인사의 다양성을 강화했다고 설명했습니다.
이번 중장 인사에서 방첩사령관 임명이 빠졌는데, 국방부는 방첩사를 개편하면서 사령관의 계급을 중장에서 소장 이하로 낮추는 방안을 검토 중인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내란 중요임무 종사 등 혐의로 재판을 받고 있는 여인형 전 방첩사령관과 이진우 전 수방사령관, 곽종근 전 특전사령관은 정원 외로 판단하고, 군은 이들의 중장 자리를 채웠습니다.
국방부는 이들 3명에 대해 이른 시일 안에 징계 절차를 진행할 예정입니다.
(영상편집 : 윤태호)
동영상 기사
동영상 기사
동영상 기사
동영상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