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젤렌스키 측근, 에너지기업 비리 주범 지목…해외 도피

젤렌스키 측근, 에너지기업 비리 주범 지목…해외 도피
▲ 볼로디미르 젤렌스키 대통령

우크라이나 수사 당국이 볼로디미르 젤렌스키 대통령의 핵심 측근을 에너지기업 비리 사건의 주범으로 보고 수사 중입니다.

AFP, 로이터 통신에 따르면 우크라이나 국가반부패국(NABU)과 반부패특별검사실(SAPO)은 현지시간 11일 젤렌스키 대통령의 전 사업 파트너인 티무르 민디치 등 7명을 입건하고 이 가운데 5명을 구속했습니다.

민디치는 젤렌스키 대통령이 코미디언 시절 설립한 미디어 제작사 크바르탈95의 공동 소유주입니다.

검찰은 "민디치는 우크라이나 에너지 분야에서 범죄적 수단으로 획득한 자금의 축적, 분배, 합법화를 통제했다"며 "대통령과 우호적 관계를 이용했다"고 설명했습니다.

NABU의 올렉산드르 아바쿠모우 수사팀장은 민디치가 지난 10일 대규모 압수수색 직전 해외로 도피했다고 우크라이나 국영 TV에 전했습니다.

수사 당국은 우크라이나의 원자력공사 에네르고아톰의 고위 간부 등이 협력사들에게 정부 계약 금액의 10∼15%에 해당하는 리베이트를 조직적·체계적으로 받아 온 것으로 보고 있습니다.

이렇게 챙긴 뒷돈은 별도 사무실에서 관리하며, 역외 기업 네트워크를 통해 자금 세탁을 한 것으로 당국은 파악했습니다.

세탁된 자금 규모는 1억 달러(약 1천400억 원) 정도로 추산됩니다.
압수수색 과정서 확보한 돈뭉치 (사진=우크라 반부패국 텔레그램 캡처, 연합뉴스)

당국은 정·재계 핵심 인사들이 이들의 뒷배를 봐주거나 범행을 묵인한 것으로 보고 전 에너지부 장관이었던 헤르만 갈루셴코 법무장관도 입건했습니다.

당국은 갈루셴코 장관이 4년간 에너지부 장관을 지내면서 에너지 부문의 자금 흐름을 통제하는 대가로 민디치에게 '개인적 이익'을 챙겼다고 주장했습니다.

율리아 스비리덴코 우크라이나 총리는 12일 엑스(X·옛 트위터)에 올린 글에서 "임시 내각회의를 열어 갈루셴코 법무장관의 직무를 정지하기로 결정했다"고 밝혔습니다.

갈루셴코 장관은 성명에서 "수사 기간 중 직무 정지는 정당하다"며 "법정에서 내 입장을 변호하고 증명할 것"이라고 반박했습니다.

우크라이나 정부는 에네르고아톰의 감독위원회를 해임하고 협력사 선정 과정 등에 대한 긴급 감사를 하기로 했습니다.

젤렌스키 대통령은 이날 텔레그램 메시지에서 이번 의혹에 연루된 인사들의 공무직 해임을 총리에게 요구했습니다.

젤렌스키 대통령은 "법무장관과 에너지부 장관은 직위를 유지할 수 없다고 생각한다. 이는 신뢰의 문제"라며 "혐의가 있다면 이에 대해 책임져야 한다"고 말했습니다.

이어 "직위 해임 결정은 신속하고 가장 빠른 조치"라며 "총리에게 이들 장관의 사임을 제출하도록 요청했다"고 덧붙였습니다.

다만, 젤렌스키 대통령은 민디치와 관계에 대해서는 별도로 언급하지 않았습니다.

젤렌스키 대통령의 해임 요구에 스비틀라나 흐린추크 에너지부 장관은 곧바로 사직서를 제출했습니다.

그는 페이스북을 통해 "내 활동 범위 내에서 법률 위반은 없었다. 그런 일은 원칙적으로 존재할 수 없다"며 "결국 시간이 모든 걸 제자리에 돌려놓을 것"이라고 사건 연관성을 부인했습니다.

러시아의 끊임없는 에너지 시설 공격과 광범위한 전력 부족 속에서 에너지 기업의 부패 사건은 대중의 분노를 사고 있다고 AFP 통신은 전했습니다.

모스크바는 침공 후 4번째 겨울을 앞두고 미사일과 무인기(드론)를 총동원해 우크라이나의 에너지 부문에 대한 공격을 강화했습니다.

(사진=AP, 연합뉴스)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많이 본 뉴스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