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캐나다 총리, 시진핑 회담 이후 "대중 관세 즉각 인하는 어려워"

캐나다 총리, 시진핑 회담 이후 "대중 관세 즉각 인하는 어려워"
▲ 마크 카니 캐나다 총리와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

마크 카니 캐나다 총리는 현지 시간 1일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과의 정상회담에서 통상 문제 해결은 애초부터 현실적인 목표가 아니었다고 밝혔습니다.

카니 총리는 지난달 31일 경주 APEC 정상회의를 계기로 시 주석과 정상회담을 가졌습니다.

블룸버그통신에 따르면 카니 총리는 회담 이후인 이날 기자회견에서 이번 회담의 목표가 즉각적인 통상 문제 해결보다는 8년 만에 최고위급 관계를 수립하고 장기적인 무역 다변화의 물꼬를 트는 것이었다고 강조했습니다.

그는 "사람들은 때때로 이것을 주고 저것을 받는 식으로 단순화하지만, 협상은 그렇게 작동하지 않는다"며 즉각적인 성과에 대한 기대에 선을 그었습니다.

카니 총리는 특히 양국 간 통상 갈등의 핵심 쟁점 중 하나인 중국산 전기차에 대한 100% 관세를 완화할 의향이 있느냐는 질문에 "신중하게 진행할 것"이라고만 답했습니다.

캐나다가 중국산 전기차 관세 인하를 주저하는 것은 중국산 전기차가 캐나다 시장에 대량으로 유입돼 자동차 산업에 타격을 줄 수 있다는 우려 때문입니다.

블룸버그는 캐나다 자동차 산업이 도널드 트럼프 미국 행정부의 관세 위협 등 광범위한 도전에 직면해 있다고 지적했습니다.

카니 총리는 이처럼 관세 문제에 대해서는 신중론을 취하면서도 청정에너지 분야에서 중국과의 협력 가능성을 모색하고 있다고 설명했습니다.

캐나다와 중국 간의 관계는 그간 좋지 않았지만, 모두 트럼프 대통령의 '관세 전쟁'의 주요 표적으로 오른 뒤 서로에게 다시 손을 내밀고 있습니다.

캐나다는 수출의 약 75%를 차지하는 미국 의존도를 낮추기 위해 무역 다변화를 꾀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캐나다가 여전히 미국의 눈치를 살피는 상황에서 카니 총리가 중국과의 협상 테이블에서 구체적으로 무엇을 협상 카드로 내놓을지는 불분명하다고 블룸버그는 지적했습니다.

(사진=AP, 연합뉴스)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많이 본 뉴스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