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어제(1일) 한중 정상회담에서는 한반도 비핵화도 논의됐습니다. 지난 9월 북중 정상회담에서는 '비핵화'란 말이 빠지면서 중국이 북한의 핵 보유를 사실상 용인하는 것 아니냐, 이런 우려가 컸죠. 하지만 대통령실은 "비핵화가 논의됐고, 북한과 미국의 대화가 제일 중요하다는 데 의견을 같이했다"고 전했습니다.
이어서 안정식 북한전문기자입니다.
<기자>
한중 정상회담이 끝난 뒤 위성락 국가안보실장은 어젯밤 기자 브리핑에서, 비핵화 문제가 이번 회담에서 논의됐다고 밝혔습니다.
[위성락/국가안보실장 : 이 대통령께서 우리 정부의 비핵화 및 평화 실현 구상을 소개하고.]
위 실장은 한반도 평화와 안정에 관한 중국의 입장이 유지된다는 걸 여실히 알 수 있었다며 중국의 한반도 비핵화 정책에 변화가 없음을 시사했습니다.
지난 9월, 북중 정상회담에서는 '비핵화'란 용어가 양국 발표에서 빠졌습니다.
대외 관계에서 서로의 입장을 통보했다는 북한 발표로 볼 때, 북핵 문제에 대한 북중 사이 이견이 드러났다는 관측이 나온 바 있습니다.
[조선중앙TV (지난 9월) : 대외 관계 분야에서 (북중) 두 나라 당과 정부가 견지하고 있는 자주적인 정책적 입장들에 대해 호상(상호) 통보하셨습니다.]
하지만, 중국 신화통신의 한중 회담 결과 보도에서는, '지역의 평화와 발전'을 언급한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의 발언만 전해졌을 뿐, 북한이나 비핵화란 용어는 등장하지 않았습니다.
북한을 고려한 걸로 풀이됩니다.
[시진핑/중국 국가주석 : 중한 전략적 협력 동반자 관계를 안정적이고 장기적으로 발전시킴으로써 지역의 평화와 발전을 위해 더 많은 긍정적인 에너지를 불어넣고자 합니다.]
위성락 실장은 이재명 대통령이 남북 대화 재개를 위한 중국의 건설적 역할을 당부했으며, 북미 대화가 제일 중요하다는 데, 양국 정상이 의견을 같이했다고 전하기도 했습니다.
또, 중국이 서해에 설치한 구조물과 관련해서도 논의가 있었으며, 서로 소통하며 문제를 풀어보자는 공감대를 형성했다고 말했습니다.
(영상편집 : 정용화)
동영상 기사
동영상 기사
동영상 기사
동영상 기사
동영상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