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조지아의 악몽' 이후 "한국 기업 최소 6곳, 대미 투자 철회·보류"

'조지아의 악몽' 이후 "한국 기업 최소 6곳, 대미 투자 철회·보류"
▲ 미 당국이 공개한 조지아주 한국인 이민 단속 현장

지난 9월 미국 조지아주에서 발생한 한국인 노동자 구금 사태 이후 여러 한국 기업들이 계획했던 미국 투자 프로젝트를 철회하거나 보류한 것으로 확인됐다고 워싱턴포스트가 보도했습니다.

신문이 미국 주재 컨설턴트와 변호사 등 복수의 업계 관계자를 통해 파악한 바에 따르면 한국 기업 중 최소 2개 사가 미국 내 계획했던 투자 프로젝트를 철회했고, 최소 4개 사가 일시 중단했던 대미 투자의 보류 기간을 연장했습니다.

다만 컨설턴트와 변호사들은 고객과의 사업 관계에 부정적인 영향을 줄 것을 우려해 대미 투자를 철회하거나 보류한 해당 기업들의 이름은 공개하지 않았습니다.

미국 상공회의소 산하 미국-한국 경제 협의회 회장을 지낸 태미 오버비 국제 비즈니스 컨설턴트는 한 한국 기업이 미국 내 공장 부지를 물색 중이었지만 미국 시장의 불확실성과 위험을 우려해 결국 한국에서 공장을 확장하기로 방향을 선회했다고 전했습니다.

덴버 소재 법률회사 '홀랜드 앤드 하트'의 크리스 토머스 이민 변호사 역시 한국의 한 대형 IT 기업이 이번 사건 이후 미국 진출 계획을 접고 한국이나 인도에서 입지를 확대하기로 했다고 말했습니다.

앞서 미국 이민 당국은 지난 9월 현대자동차와 LG에너지솔루션이 조지아주에 건설 중인 배터리 공장을 대대적으로 단속해 한국인 300명을 구금했으며 이들은 정부 간 협상 끝에 구금 7일 만에 석방됐습니다.

이런 투자 위축의 배경에는 이민 단속 탓도 있지만 트럼프 미 행정부의 새로운 비자 규제도 영향을 미치고 있다고 워싱턴포스트는 짚었습니다.

(사진=미국 이민세관단속국(ICE) 홈페이지 영상 캡처, 연합뉴스)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많이 본 뉴스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