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북한 "침공도 공개됐다"…주한미군 뒤집힌 지도에 격앙

북한 "침공도 공개됐다"…주한미군 뒤집힌 지도에 격앙
북한이 주한미군사령부가 제작한 것으로 알려진 동아시아 지도에 대해 "미국의 아시아 침략 야욕을 드러낸 '침공도'"라고 강하게 반발했습니다.

조선중앙통신은 오늘(19일) 안혁범 명의로 발표된 '〈거꾸로 된 지도〉는 무엇을 보여주는가'라는 제목의 글을 인용해 관련 입장을 전했습니다.

북한은 "주한미군을 신속기동군화해 어떻게든 아시아 지역에서 패권 야망을 실현하려는 미국의 침략적 흉심을 고스란히 드러냈다"고 주장했습니다.

또 "미군이 사용하는 새 지도는 주한미군의 '전략적 유연성' 확대가 더욱 공세적으로 진화됐다는 증거"라며 "한국, 일본, 타이완, 필리핀 등 미국의 추종 세력이 북한과 중국을 포위하는 구도로 설정됐다"고 비판했습니다.

이어 "조선반도와 중국 동해, 남해를 무대로 주일미군 기지는 병참기지, 주한미군 기지는 전초 및 발진기지 역할로 묘사됐다"고 전했습니다.

북한은 이 지도가 "미국의 아시아 침략 전쟁 기도를 보다 직관적으로 설명한다"고 강조했습니다.

특히 "미국의 아시아 제패 전략 실현에서 한국이 맡은 역할도 두드러지게 표현됐다"고 비난했습니다.

주한미군

평택 미군기지에서 사방으로 화살표가 뻗어나간 모습에 대해선, "아시아에서 어디에서든 전쟁이 나면 한국이 전초기지, 발진기지가 돼야 한다는 점을 분명히 시사한다"고 주장했습니다.

또 "주한미군의 '전략적 유연성' 확대는 본질적으로 한국이 미국의 '돌격대'로 참전할 가능성이 100%라는 점을 못박은 일종의 명령서"라고 날을 세웠습니다.

앞서 주한미군이 올해 초 한반도를 거꾸로 뒤집은 동아시아 지도를 내부 교육용으로 제작한 사실이 SBS 보도로 알려졌고, 이를 두고 주한미군의 역할 조정 가능성이 제기된 바 있습니다.

제이비어 브런슨 주한미군사령관은 지난 5월 하와이 심포지엄에서 "주한미군은 북한 격퇴에만 초점을 맞추지 않는다"고 말한 바 있습니다.

이 발언은 트럼프 행정부가 중국 억제를 인도·태평양 전략의 우선순위로 두고, 주한미군의 태세 전환을 시사한 것이라는 해석이 나왔습니다.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많이 본 뉴스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