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항공 여객기 참사의 원인으로 지목된 '조류 충돌', 이른바 '버드 스트라이크'는 항공기가 이착륙하거나 순항할 때 동체나 엔진에 새가 부딪히는 현상입니다.
새는 항공기에 비교해 아주 작지만, 움직일 때 충돌하면 기체에 큰 충격을 줍니다.
시속 370㎞로 상승하는 항공기에 900g의 청둥오리 한 마리가 충돌할 경우 항공기가 받는 순간 충격은 4.8t이나 됩니다.
새가 항공기 엔진으로 빨려 들어가면 화재 등 대형 사고로 이어질 가능성도 있습니다.
공항은 주로 들판에 만들어지는데 특히 우리나라 공항은 강가나 해변에 자리 잡은 곳도 많아 새들이 몰려들어 충돌할 가능성은 더 커진다는 평가입니다.
최근에는 기후 변화 영향에 따른 철새의 텃새화, 출몰 시기와 출몰 조류종의 변화 등으로 전국 공항에서 항공기와 조류 간 충돌 건수가 매년 증가하는 추세를 보이고 있습니다.
한국공항공사 등이 발표한 바로는 2019년부터 올해 상반기까지 5년 6개월 동안 국내 공항에서는 모두 623건의 조류 충돌이 발생했습니다.
연도별로 보면 2019년 108건에서 코로나19 대유행으로 운송량이 감소한 2020년 76건으로 줄었다가, 2021년 109건, 2022년 131건, 지난해 152건으로 꾸준히 늘었습니다.
같은 기간 조류 충돌로 회항한 항공기도 7편 있었습니다.
인천공항에서는 지난 2월 6일 막 이륙해 17피트, 약 5.2m 떠오른 항공기 엔진과 착륙기어에 새가 날아들면서, 6월 24일에는 이륙을 위해 활주로를 달리던 항공기 전면에 새가 부딪히면서 회항하는 일이 있었습니다.
조류 충돌을 예방하기 위해 인천공항과 김포공항을 비롯한 전국 공항은 다양한 활동을 하고 있습니다.
전담 인원을 투입해 조류 서식 환경을 관리하고, 총포·폭음경보기, 음파퇴치기 등을 활용하고 있지만 사고를 100% 막기는 역부족입니다.
(취재: 최고운 / 영상편집: 이승희 / 제작: 디지털뉴스편집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