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인가구가 전체 가구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35%를 넘어 역대 최대치를 기록했습니다.
고령화 추세로 인해 70세 이상 비중이 처음으로 가장 많아졌습니다.
통계청은 오늘(9일) 이런 내용의 '2024 통계로 보는 1인가구'를 발표했습니다.
지난해 1인가구는 782만 9천 가구로 집계됐습니다.
전체 가구의 35.5%를 차지합니다.
1인가구 비중은 2019년 처음 30%를 넘어선 데 이어 매년 역대 최대치를 갈아치우고 있습니다.
결혼이 줄고, 기대수명이 늘어난 가운데 배우자를 잃고 혼자 사는 노인이 늘어나는 게 배경입니다.
연령대별로 보면 70세 이상이 19.1%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했는데 5명 중 1명꼴입니다.
이어 29세 이하(18.6%), 60대(17.3%), 30대(17.3%) 순이었습니다.
2022년까지는 29세 이하가 19.2%로 가장 많았으나 작년부터 70세 이상이 역전했습니다.
남성 1인가구에서는 70세 이상이 9.9%를 차지하는 반면 여성에서의 비중은 28.3%에 달합니다.
지난해 1인가구의 연간 소득은 3천223만 원으로 전년보다 7.1% 증가했습니다.
전체 가구 소득(7천185만 원)의 44.9% 수준입니다.
소득 구간별로 보면 1인가구의 55.6%는 연 소득이 3천만 원 미만으로 나타났습니다.
1천만∼3천만 원 미만이 41.5%로 가장 많았고, 3천만∼5천만 원 미만(26.1%), 1천만 원 미만(14.1%) 순이었습니다.
1인가구의 월평균 소비지출은 163만 원으로 전체 가구(279만 2천 원) 대비 58.4% 수준으로 나타났습니다.
주거·수도·광열비(18.2%), 음식·숙박(18.0%) 순으로 지출이 많았습니다.
올해 1인가구 자산은 2억 1천217만 원으로 집계됐다.
전체 가구(5억 4천22만 원)의 39.3% 수준입니다.
부채는 4천12만 원으로 전체 가구(9천128만 원)와 비교하면 44.0% 수준입니다.
1인가구 10명 중 7명은 무주택자로 나타났습니다.
지난해 1인가구의 주택 소유율은 31.3%로 집계됐습니다.
일하는 1인가구는 매년 증가세입니다.
작년 10월 기준 취업자 1인가구는 467만 5천 가구로 집계됐는데 전년보다 12만 가구 증가했습니다.
연령대별 비중은 50∼64세가 26.5%로 가장 많았고, 30대(23.3%), 15∼29세(19.4%) 순으로 비중이 높았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