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군 의료 경험' 병사 4명 중 1명 "진료 제때 못 받아"

'군 의료 경험' 병사 4명 중 1명 "진료 제때 못 받아"
군대에서 의료서비스를 받아 본 병사 4명 중 한 명 꼴로 필요한 진료를 제때 받지 못한 것으로 조사됐습니다.

특히 계급이 낮을수록 의료서비스 이용에 더 큰 한계를 느끼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국가인권위원회가 가톨릭대를 통해 실시한 '장병 건강권 보장을 위한 군 의료체계 실태조사' 결과, 군 의료서비스를 받아본 병사 637명 가운데 24.8%인 158명이 필요한 진료나 검사를 제때 받지 못했다고 응답했습니다.

복수 응답으로 꼽은 원인으로는 '진료를 받을 여유가 부족하다'거나 '부대 내부 분위기로 인해 진료를 받지 않고 참는다'는 취지의 답변이 많았습니다.

구체적으로는 '훈련·근무로 의료기관에 갈 시간이 없거나 근무지를 비울 수 없어서'가 44.9%, '부대 분위기상 아프다고 말하기 어려워' 27.8%, '대기시간이 길어서' 24.7%, '부대에서 정한 날짜에 일정을 맞출 수 없어서' 23.4% 등이었습니다.

제때 진료·검사를 받지 못한 비율은 해군이 30%로 가장 높았고 공군과 육군은 25.3%, 해병대는 18.7%로 조사됐습니다.

특히 의료 서비스 이용은 계급과도 밀접한 연관성을 보였습니다.

'부대에서 정한 단체 외래진료 날짜에 일정을 맞출 수 없어서'라는 응답 비율은 훈련병과 이병이 각각 40.0%, 42.9%였지만 일병은 28.9%, 이병 20.7%, 병장 18.0%로 계급이 올라갈수록 낮아졌습니다.

'부대 분위기상 아프다고 말하기 어렵다'는 응답 비율도 병장은 16.0%였던 반면 상병은 36.2%, 일병은 26.3%, 이병은 42.9%였습니다.

조사팀은 "군의 미충족 의료 경험률은 일반 국민의 경험률인 7.8∼10.8%보다 2∼3배 높다"며 "아플 때 아프다고 말할 수 있는 부대 분위기를 조성하는 것이 여전히 필요하다"고 지적했습니다.

이번 조사는 군 복무 중 대대·연대급 부대의 의무실, 사단급 이상 부대의 의무대, 군 병원, 해군해양의료원, 공군항공우주의료원, 국군수도병원을 이용한 경험이 있는 현역 간부와 병사 782명을 대상으로 지난해 이뤄졌습니다. 

(사진=연합뉴스)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많이 본 뉴스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