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취재파일]'이웃'이 문을 닫는다 (3)

지난해 말, 세월호 가족들의 치유공간 '이웃'이 문을 닫게 됐다는 소식을 들었다. 코로나로 송별회 같은 것은 엄두도 못 내고 알음알음 주변 사람들에게 알리고 있는 상황이었다. 세월호 가족들에게 이 공간이 어떤 의미인지, 아는 사람들은 잘 알 것이다. '이웃'이 이렇게 조용히 사라진다고 생각하니 가슴 한 켠이 쓸쓸하고 허무하기까지 했다. 우리 사는 세상에 또 이런 공간이 나타날 수 있을지, 그러려면 어떻게 해야 하는지 최소한의 내용일지라도 기록해 둬야 한다는 생각이 들었다. 지난 6일, 안산시 단원구 와동에 있는 '이웃'에 들렀다. '이웃'의 탄생과 끝을 모두 지켜본 이영하 대표를 만나 2시간 넘게 대화를 나눴다. 다음은 그 기록이다.

▶ [취재파일] '이웃'이 문을 닫는다 (1)
▶ [취재파일] '이웃'이 문을 닫는다 (2)


이영하 치유공간 '이웃' 대표 : 저희가 4년째부터였나, 김치 프로젝트를 진행했어요. 한 달에 한 번씩 어떤 달은 갓김치, 어떤 달은 깍두기, 어떤 달은 배추김치. 매번 김치 종류를 바꿔 가면서 한 200개 정도. 편지를 써서 2학년 몇 반 누구 어머님 김치 드시라고 개인적으로 드리기도 하고 가족협의회 사무실에 가져다 놓으면 어머님들이 와서 가져가시기도 했어요. 엄마들이 정말 김치가 필요할 거라고 생각했다기보다, 김치를 만들려면 손이 정말 많이 가요. 한 번에 50명씩 와서 담가야 할 때도 있거든요. 그런 걸 엄마들은 다 아실 것 아니에요. 이렇게 수북이 쌓여 있는 김치를 누가 다 만들었을까, 이 많은 김치를 담그기 위해 다들 한 데 모였던 걸까, 이런 걸 생각하다 보면 그분들께 엄청난 위로가 되는 거예요. 엄마들에게 여전히 사람들은 당신들을 기억하고, 옆에 있어주고 싶어 한다는 것을 알려주는 게 목적이었어요.

규칙이 없는 것처럼 보이게 하는 게 이 공간의 규칙인데, 돌아보니까 보이지 않는 손이 많았던 것 같아요. 이야기 프로그램을 할 때에 청중을 모집하는데요. 주인공인 유가족 어머니나 활동가 등의 사전 인터뷰를 통해 혹여라도 불편할 만한게 있는 사람이 있는지 미리 파악해요. 반대로, 꼭 들으셔야 할 것 같은 사람은 어떻게든 찾아서 그 자리에 청중으로 오게 한다든가.

기자 : 드러나지 않은 배려네요. 이웃의 방식으로 커뮤니티를 돌보는 콘셉트의 기관이, 기존에도 있었나요?

이영하 대표 : 일본에 '드랍 인(Drop In)' 센터라는 게 있어요. 세월호 같은 재난에 대한 것만은 아닌데, 말 그대로 똑똑똑 물 떨어지는 것처럼 스며드는 개념. 전문가 한두 사람이 커뮤니티를 지켜보는 거예요. 일부러 어떤 개입도 하지 않고. 그러다가 문제가 발생하면 너무나 자연스럽게 커뮤니티의 사람들이 자신들을 줄곧 지켜보고 있었던 전문가에게 물어보고, 그럼 전문가가 꼭 평가가 진단은 아니더라도 자신이 알고 있는 범위 내에서 사람들에게 필요할 것 같은 지식을 알려줘요. 꼭 같다고 볼 수는 없지만 '이웃'과 비슷할 수도 있겠다는 생각이 들었어요.


기자 : 안산이라는 도시가 참사를 딛고 공동체 회복을 해야 한다고들 말하잖아요. 안산에서 오래 살아온 사람으로서, 또 '이웃'의 대표로 세월호 가족들과 오래 소통해 온 분으로서 어떤 게 해결책이 될 것이라고 보세요?

이영하 대표 : 공동체 회복, 글쎄요. 저는 잘 모르겠어요. 이웃에 계신 분들과 그런 의논을 많이 했어요. 참사 이후 국가가, 지역사회가 내세우는 게 '공동체 회복'인데, 회복이라는 건 원래 공동체가 있었고, 피해 때문에 공동체가 망가졌고, 그래서 다시 본래대로 복구하자는 것을 말하잖아요. 그렇다면, 세월호 참사 전에 우리 공동체는 원만하고 좋은 공동체였을까? 참사 전의 공동체로 돌아가는 게 우리의 답일까? 공동체는 여러 사건과 사고, 시대의 흐름에 따라서 변화하는 거예요, 계속. 조금 굴곡질 때도, 또 멋진 모습일 때도 있는 것이고. 참사를 겪으면서 우리 공동체가 휘청 흔들렸고, 그렇다면 이 공동체는 앞으로 다른 모습으로 가게 될 수밖에 없는 거예요.

유가족들이 주민들과 원래의 관계로 돌아갈 수 있으면 그것대로 좋겠지만, 이전과 다른 형태로 자신을 보호하면서 편안한 방식을 찾아 사는 것도 나쁘지 않다. 피해를 겪은 이와 겪지 않은 이들 사이에 반목이나 갈등은 긴 세월을 두고 여러 형태로 변화하는 것이지, 당장의 어떤 프로그램, 재정적인 투입으로 바뀔 수 있는 게 아닌 것 같아요. 어떤 면에선 유가족들이 이제 홀로 집에만 있는 상황이 아니라, 자신을 보호할 수 있는 사람들 속에 있다라고 하는 점에서는 전에 없던 안도감이 생겼어요. 그건 참 다행이다고 생각해요.

살면서 바로 옆집의 아이가 사라지는 일을 경험한 사람들이 세상에 얼마나 있겠어요. 안산에서 세월호 참사 때 아이를 잃은 집이 250가구 정도 되고, 그 집의 엄마, 아빠만 500명, 형제자매까지 하면 800~900명쯤 된단 말이에요. 아이의 가까운 친구들까지 생각하면 숫자를 셀 수 없고. 그 많은 사람들이 6년 반이 지난 지금에도 가장 힘들어하는 건 남과 다른 경험을 한 사람이라는 이유로 배타시되는 느낌인 거예요. 지역 주민 가운데엔 나와 다른 경험을 한 이 사람들을 어떻게 대해야 할지 잘 모르겠어서 함부로 대하거나, 자신의 분노감을 되려 쏟아 붓는 사람들도 있었어요. 아픔을 경험한 사람들에 대한 이해와 관용, 살 부대끼면서 다시 함께 살 수 있는 능력. 이런 걸 시민들이 갖추는 게 가장 필요한 것 아닌가.


기자 : '이웃'이 문을 닫으면, 이제 이 공간은 어떻게 사용되나요?

이영하 대표 : 2월 1일부터는 안산의료복지사회적협동조합에서 커뮤니티 공간으로 쓰게 돼요. 그곳에서 일하게 되실 분들이 앞으로도 세월호와 관련한 이들을 돌보거나 연대하는 일을 이어가겠다고 얘기하시더라고요. 대상은 조금 다르지만 아프고 약한 사람들, 그러니까 복지 사각지대에 있는 분들이 이곳에서 서로 자주 모임도 하고, 연결되는 관계를 만들도록 할 거다. '이웃'에서 해 왔던 여러 치유프로그램도 이어갈 수 있도록 도움을 달라. 계속 하고 싶다고 하시더라고요. 관련해서 도움을 줄 일들도 앞으로 있을 것 같아요.

기자 : 이제 정말 끝이네요.

이영하 대표 : 당분간 남은 할 일이 있어요. 이웃이 문을 열 때부터 지금까지 한 달에 한 번씩 달걀을 보내주는 분이 있었거든요. 어떤 분은 한 달에 한번 생선을, 어떤 분은 고기를 보내주셨어요. 제가 그분들의 얼굴을 아직도 한 번을 못 봤어요. 만나자고 해도 절대 자신이 누군지 드러내지 않으셨던 분들이에요. 그런 분들 때문에 저희가 여기까지 온 거예요. 그분들의 이야기를 정리하고 있어요. 누군지 모를 무명 씨 1, 2, 3. 우리의 진짜 이웃이었던, 이곳을 이끌어 왔던 힘이었던 그분들의 이야기를 잊지 않도록 잘 정리해 두려고요.


다음은 최근 이웃이 문을 닫는다는 소식을 알린 이영하 대표의 SNS에 사람들이 남긴 댓글들이다.
"치유될 수 없는 고통에 내몰린 상처투성이의 수많은 이들, 지옥 같은 고통과 슬픔에 울부짖는 그곳에 선뜻 따뜻한 이웃으로 찾아와 함께 울고 함께 위로가 되어주며 오랜 세월 살갑게 보살펴 주시고 곁이 되어 주셨던 모든 분들께 진심으로 감사드립니다. 수많은 분들의 마음과 정성과 눈물과 기도가 모아진 이웃이 있었기에 저희 유가족들이 숨이라도 쉴 수 있는 공간이 되어주었습니다."

"아! 짧은 탄성밖에 안 나오는 먹먹함이네요."

"그동안 애쓰셨습니다. 이웃에서의 아이들 생일과 정성 가득했던 밥상 잊지 못할 겁니다. "

"6년 동안 수고 많으셨어요. 저희가 자주 방문하진 못했지만 와동에 자리 잡고 계신 것만으로도 든든했는데 이렇게 소식을 접하니 많이 서운하고 안타까운 마음입니다. "

"치유공간 이웃에서의 따뜻함을 기억합니다. 이웃에서 사람의 참모습을 보았습니다. 이웃의 아픔에 대해 공감을 어떻게 해야 하는지 치유공간 이웃은 보여주었습니다. 조용히 다가와 눈물을 닦아주었던 수많은 티슈의 고마움은 또 어떻고요. 세상에서 그리도 아프고 그래서 더 힘을 얻는 밥상은 또 없었습니다. 치유공간 이웃에서 남긴 마음의 자리는 엄마의 따뜻한 품이었습니다. "

"이웃에 갈 때마다 느꼈지만 그동안 그림자처럼 묵묵히 밥을 짓고 온갖 일들을 진행해 왔던 영하 대표님과 이웃 치유자분들의 모습이 눈 앞에 아른거리네요. 그 긴 시간 동안 세월호 유가족 분들뿐만 아니라 그 공간을 다녀간 모두에게 눈물과 위로의 시간이었어요. 제가 그걸 느낀 장본인이라 자신 있게 말할 수 있어요. 진심으로 감사드려요. 그동안 정말 애쓰셨어요."

"이웃에서의 밥상과 시간과 공간들 단 한순간이라도 함께 하신 분들은 평생 잊지 못할 거예요. 우리 따로 또 같이 각자의 자리에서 이웃해요. 그렇게 또 만나요."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