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인-잇] 마을 애물단지가 보물단지가 됐다

김종대|건축가. 디자인연구소 '이선' 대표.

낙후된 도시를 활성화하기 위해 많은 지자체들이 지역의 자원을 활용한다. 오래된 도시의 역사나 건축물, 자연경관을 내세워 지역의 이미지를 만들고 활성화의 수단으로 이용한다. 지역의 고유한 자원을 기반으로 만든 산업과 문화는 다른 도시와 구별되는 강력한 상품성이 있다. 경주나 전주처럼 역사문화가 풍부한 곳과 울산처럼 산업자산이 두드러진 곳에서는 이러한 전략을 세우기 쉽지만 모든 도시가 차별화된 자원을 가진 것은 아니다. 특히 마을을 단위로 하는 활성화 전략을 세울 때는 차별화된 자원을 찾는 것이 어려운 경우가 많은데 이는 지역의 자원을 좋은 것, 혹은 자랑할 만한 것에서만 찾는 보수적인 관점 때문이다.

하지만 지역의 자원은 약점 또는 결핍된 요소에서도 찾을 수 있다.

(왼) 윗마을과 아랫마을을 연결하는 '168계단'은 마을의 숙원사업이었다.<br><button class= 이미지 확대하기
(오) 사람을 실어 오르는 작은 모노레일이 마을의 활성화를 끌어 올렸다. " data-captionyn="Y" id="i201474830" src="https://static.sbsdlab.co.kr/image/thumb_default.png" class="lazy" data-src="//img.sbs.co.kr/newimg/news/20200925/201474830_1280.jpg" style="display:block; margin:20px auto">부산역을 마주하고 있는 초량동 이바구길은 결핍이 자원이 된 좋은 사례이다. 산을 배경으로 바다를 바라보고 있는 이바구길은 부산의 지형적 특성이 고스란히 반영된 곳이다. 이야기를 사투리로 '이바구'라 하는데, 이름에 담긴 의미처럼 다양한 소시민들의 애환이 담긴 마을이다. 계단의 총길이는 45m, 거기다 45도 깎아지른 경사에 계단 수만 무려 168개에 이르는 '168 계단'은 젊은 사람들도 오르기 힘들어 민원 대상이자 마을의 발전을 저해하는 요인이었다.

힘들고 지쳤던 기억뿐인 이 계단이 마을 발전의 중심이 되기 시작한 것은 2016년, 경사형 모노레일을 계단 옆에 설치하면서부터다. 길이 60m, 33도의 경사형 모노레일은 주민들의 이동수단이 되었을 뿐만 아니라, 관광객의 볼거리, 즐길거리로 떠올랐다. 막혀있던 길이 뚫리자 계단을 중심으로 문화 공간들과 상점들이 자리 잡기 시작했다. 의사 장기려 기념관과 시인 김민부 전망대처럼 지역 인물을 알리는 문화 공간과 옛날 병원을 개조한 카페, 추억의 도시락을 판매하는 곳까지 다양한 시설들이 마련되면서 부산의 관광 명소로 자리를 잡았다.

불편과 결핍의 상징이었던 '168 계단'이 모노레일을 갖추면서 마을 활성화의 아이콘이 된 것이다.

(왼) 후암 주방에는 연인을 위한 음식냄새가 가득하다.<br><button class= 이미지 확대하기
(오) 사색에 잠겨 조용히 책을 읽을 수 있는 공간이 제공되는 후암 거실." data-captionyn="Y" id="i201474829" src="https://static.sbsdlab.co.kr/image/thumb_default.png" class="lazy" data-src="//img.sbs.co.kr/newimg/news/20200925/201474829_1280.jpg" style="display:block; margin:20px auto">요즘 짓는 아파트들은 편의시설이 잘 갖추어져 있다. 키즈카페부터 놀이터, 도서관, 피트니스까지 일상생활에 필요한 여가활동 공간을 갖추는 것은 아파트 단지의 기본 시설이 되었다. 심지어 주민들을 위한 카페에서는 음료뿐만 아니라 조식을 제공하는 곳도 있다. 하지만 오래된 주택가는 아파트 단지와 비교해 주민들이 누릴 수 있는 편의시설이 턱없이 부족하다. 도시재생사업을 하게 되면 이러한 편의시설을 갖추는 데 최선을 다하고 있지만, 조성할 수 있는 공간 확보가 어려워 공염불로 끝나는 경우가 많다.

서울 용산구의 후암동 역시 오래된 마을로 주민 편의시설이 턱없이 부족한 마을이다. 낮은 높이의 주택들이 이루고 있는 스카이라인이 매력적인 동네이지만 살기 편한 마을이라고 말하기에는 부족한 점이 많았다. 주민 누구나 음식을 만들어 먹을 수 있는 공유 주방인 '후암주방'처럼 후암 편의시설 시리즈는 오래된 동네에 부족한 편의시설을 낡은 주택을 수리해 동네 곳곳에 조성하면서 시작됐다.

책을 볼 수 있는 '후암서재', 대형 스크린을 통해 영화를 볼 수 있는 '후암거실', 마을의 기록 공간이자 전시실인 '후암가옥'까지 마을에 결핍되어있는 시설을 갖추면서 후암동은 주민뿐만 아니라 외부인들에게도 알려지면서 많은 사람들이 찾아오는 곳이 되었다.

도시와 마을을 활성화하는 데 있어서 보유 자원을 활용하는 것은 사람들에게 친근하게 다가갈 수 있고 산업과 문화를 발전시키는 데 좋은 전략이다. 하지만 위의 사례들에서 볼 수 있듯이 좋은 면의 자원만이 사용 가능한 것이 아니라 부족하거나 좋지 못했던 자원까지도 마을 활성화를 위한 전략적 요소로 사용할 수 있다.

우리 마을은 자랑거리가 없다고 낙심하기보다는 가지고 있는 자원을 어떻게 잘 쓸 것인가에 대해 더 관심을 기울여야 한다.

* 편집자 주 : 김종대 건축가의 '건축 뒤 담화(談話)' 시리즈는 도시 · 건축 · 시장 세 가지 주제로 건축에 담긴 비하인드 스토리를 담습니다. 격주 토요일 '인-잇'에서 만나보세요.

인잇 필진 네임카드

#인-잇 #인잇 #김종대 #건축뒤담화

# 본 글과 함께 읽으면 좋은 '인-잇', 지금 만나보세요.
[인-잇] 벽화마을 성공과 몰락, 그려야 돼 말아야 돼?
인잇 사람과 생각을 잇다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