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취재파일] 검열 당한 5·18 영화…그 결정적 장면들

[취재파일] 검열 당한 5·18 영화…그 결정적 장면들
5·18 민주화운동 40주기를 맞아 곳곳에서 관련 영화 상영회가 이어지고 있습니다. (아래 표 참고)
주요 5·18 관련 영화 상영회
당시 상영 금지 조치를 당했던 미개봉 영화부터 5·18을 조명한 외국 다큐멘터리, 그리고 검열로 주요 장면들이 삭제됐던 상업 영화들까지…이제야 제대로 관객들의 평가를 받을 수 있게 됐습니다. 엄혹했던 1980년대 영화인들은 '그래도. 그래도. 5·18 영화를 만들어야 한다'는 무거운 책임감과 사명감을 갖고 있었습니다. 당시 우리 영화인들이 관객들에게 전하고자 했던 메시지를 영화 속 핵심 장면들을 통해 살펴봅니다.

<1> 상영 금지작 '황무지'(1988년/미개봉)

다큐멘터리 PD 출신인 김태영 감독이 연출한 작품입니다. 1987년 영화 '칸트 씨의 발표회'와 이어지는 연작입니다. 칸트 씨의 발표회는 시민군의 고통을, 황무지
는 진압군의 양심적 가책을 다루고 있습니다. 노태우 정부 첫해인 1988년 상영을 시도했지만, 결국 보안사 등에 의해 금지당했습니다. 상영 금지 조치가 내려진 결정적 장면은 바로 아래 장면입니다.
1988년 미개봉작 '황무지'
상영 금지의 핵심 장면
서울 망월동 국립묘지에서 공수부대원 출신인 주인공이 전단지를 뿌린 뒤 무명열사의 묘 앞에서 극단적인 선택을 합니다. 주인공은 이렇게 외칩니다. "깨어나자 병사여! 깨어나자 민주주의여!"

김태영 감독은 인터뷰에서 "지금도 어딘가엔 주인공 같은 진압군 출신이 있을 겁니다. 죄 없는 시민들을 숨지게 한 고통이 상당하겠죠. 뒤늦게 개봉되는 제 영화에서처럼 지금이라도 이런 분들이 나와 속죄의 양심선언을 하셨으면 합니다"라고 말했습니다.

인터뷰 중 눈물을 흘린 김태형 감독

<2> 일본 다큐멘터리 '자유광주'(국내 상영 금지)

5·18 1년 뒤인 1981년 일본 판화가 '도미야마 다에코' 씨 등이 공동 제작한 작품입니다. 도미야마 작가는 1921년 일본 고베에
태어나 어린 시절을 구 만주와 하얼빈에서 보냈습니다. 당시 제국주의 일본의 모습을 목격한 뒤 평생 일본의 참회와 반성을 촉구하는 작품들을 선보였습니다. 다큐멘터리에서 도미야마 작가는 진압군을 '고릴라 병사'로 표현했습니다.
1981년 일본 다큐멘터리 '자유광주'
고릴라로 묘사된 광주 진압군
다큐멘터리 속 나레이션은 이렇게 흐릅니다. "펄럭이는 깃발이여! 총을 든 시민들여! 스스로의 힘으로 싸워온 시민들이여! 자유 광주! 사랑하는 이를 잃은 슬픔과 분노의 마을! 생사를 건 싸움이 벌어진 마을! 서로 사랑하고 돕는 마을, 광주!"

마나베 유코 도쿄대 교수는 SBS와의 전화 인터뷰에서 이렇게 말했습니다. "5·18 당시 아사히 신문의 본사 기자가 독일 기자 힌츠페터 씨처럼 택시 운전사를 고용해 광주로 들어갔다고 합니다. 그리고 5월 24일 이후 아사히 지면에 르포 기사가 보도됐습니다. 당시 일본 시민사회는 1973년 김대중 납치 사건, 1974년 김지하 시인 사형 선고 등으로 '김대중을 구하자' '김지하를 구하자'는 분위기였습니다. 인권을 위해 한국 쪽과 연계하자는 운동도 있었습니다. 5·18 민주화 운동은 1979년 이란 혁명 이
후 이어진 민주화 투쟁이었고, 한국 한 나라뿐 아니라 필리핀 등 다른 여러 나라의 민주화 운 동에서 큰 영향을 끼쳤습니다"

<3> 군사정부 탄압에 살아남은 '오! 꿈의 나라'

대학가 영화동아리 출신들이 만든 영화사 '장사곶매'의 작품입니다. 1989년 소극장 상영 이후 노태우 정부는 필름을 빼앗기 위해 압수수색
영장을 신청했습니다. 그런데, 뜻밖에 영장이 기각되면서 개봉이 가능했습니다. 시민군 출신인 주인공이 광주 지역 야학에서 어린 노동자들을 가르치는 장면입니다. 칠판에 '5월 15일'이라고 쓰여 있군요. 야학에서 구두닦이 학생이 질문합니다. "민주주의 좋다는데, 저는 데모 때문에 못 살겠어라…손님이 없어져서…."
영화 '오! 꿈의 나라'의 야학 장면
주인공이 답합니다. "민주주의는 쉽게 오는 것이 아닙니다. 민주주의는 피를 먹고 산다는 말이 있습니다. 우리나라가 진정 민주화가 되려면 아직도 우리들의 많은 희생이 필요합니다. 어쩌면 생명까지도 말입니다. 여러분도 지금보다 나은 생활을 하게 될 것입니다." 하지만 구두닦이 학생은 다시 말합니다. "같이 구두닦는 형이 그러는데 데모해 봤자 아무 쓰잘데기 없다고 그러데요. 우리 같은 닦쇼들은 민주주의가 와도 계속 닦아야 한다고 말이죠"

이 영화에선 이런 대사도 나옵니다. "미친놈들, 민주주의가 되면 공돌이가 사장이라도 될 줄 알았나 보지? 그저 우리나라는 박정희 같은 사람이 꽉 잡고 있어야 돼요" 1989년 영화 대사인데, 혹시 2020년에도 이런 말 하는 사람들이 있을까요?
1991년 '부활의 노래' 개봉 포스터
<4> 백상예술대상 받은 '부활의 노래'

1991년 제작된 '부활의 노래'는 당시 "무장봉기를 미화했다"는 이유로 민주화 운동 부분 25분을 잘라내라는 지시를 받았습니다. 이정국 감독(1997년 '편지' 연출)은 SBS와의 전화 통화에서 "영화의 4분의 1이었다. 그래서 우리가 국회의원들 찾아다니면서 많이 부탁을 했다. 결국 삭제 부분이 4, 5분 정도로 줄었지만, 그것도 영화의 핵심 부분이었다. 그걸로 1991년 3월 개봉을 한 것이다. 이후 1993년 김영삼 정부가 들어서고 나중에 삭제 부분을 되살려서 재개봉했는데, 이것으로 1994년 백상예술대상 신인감독상을 받았다. 힘든 시기였고, 영화를 하는데 용기가 필요한 시기였다"고 말했습니다.
'부활의 노래' 주인공 이경영 배우
검열 로 사라질 뻔했던 주인공 이경영 배우(당시 30살)의 대사는 다음과 같습니다.

"우리가 비록 저들의 총탄에 죽어 저승에 갈지라도 우리들의 넋은 진실과 정의의 편에 선 사람들의 가슴 속에 영원히 살아남을 겁니다. 이건 결코 광주만의 싸움이 아니라는 것을 명심해야 합니다. 역사가 병들었을 때 누군가가 역사를 위해 십자가를 져야만 생명으로 부활할 수 있는 겁니다."
1996년 영화 '꽃잎' 포스터
이후 1996년 ' 꽃잎'이 개봉할 때는 대기업 계열사인 '대우시네마'가 기획 배급을 담당했습니다. 세상이 변한 거죠. 2000년 박하사탕, 2007년 화려한 휴가까지 이어진 5·18 영화들…앞선 영화인들의 아픔이 있었기에 가능했을 겁니다. 이들 영화와 다큐는 현재 한국영상자료원 등에서 만날 수 있습니다. 영화와 그걸 만든 영화인들의 모습을 함께 생각하며 5·18을 기릴 수 있는 좋은 기회가 될 겁니다.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