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김복동 장학금 · 나비기금' 남긴 영웅…우리가 안은 숙제

'위안부' 피해 생존자 19명

<앵커>

내일(28일)은 일본군 위안부로 끌려갔던 아픔을 딛고 평화와 인권운동에 앞장섰던 고 김복동 할머니가 세상을 떠난 지 1년 되는 날입니다.

할머니는 우리 사회를 어떻게 바꾸었고 또 지금 남은 숙제는 무엇인지 김형래 기자가 짚어봅니다.

<기자>

[김복동/일본군 '위안부' 피해자 (지난 1992년) : 일본에 가면 군복 만드는 공장이라 그러대, 공장에. 16살에 들어갔다가 한국에 오니까 23살이래, 23살.]

[김복동/일본군 '위안부' 피해자 (지난 2011년 1000번째 수요집회) : 이 늙은이들이 다 죽기 전에 하루빨리 사죄하라고. 알겠는가, (일본) 대사?]

김복동 할머니가 생전에 머물던 쉼터에는 여전히 고인의 흔적이 가득합니다.

'앞장서 목소리를 내줬던 사람' 남은 할머니들은 고인을 그렇게 그리워합니다.

[이옥선/일본군 '위안부' 피해자 : 같은 데 갔다 온 사람이니까 같이 생각하지. 딴 사람으로 생각 안 하지. 말하는 사람들이 자꾸 돌아가니까, 우리는 좋지 않지 마음이….]

1992년 일본군의 만행을 고발하며 세상을 향해 목소리를 내기 시작한 할머니는 노년의 삶을 평화 인권 운동에 바쳤습니다.
故 김복동 할머니 1주기
함께 활동했던 이들에게는 몸을 사리지 않는 투사였고 2015년에는 국제 언론단체가 뽑은 '자유를 위해 싸우는 영웅'에도 선정됐습니다.

[손영미/'평화의 우리 집' 소장 : '나는 희망을 잡고 살아, 나를 따라라', 평생 못 잊을 것 같아요, 그 말씀….]

전쟁 성폭력 피해를 입은 여성들을 돕는 '나비기금'과 '김복동 장학금'도 할머니가 세상에 남긴 유산입니다.

나흘 전 또 한 분이 돌아가시면서 일본군 '위안부' 피해 생존자는 이제 19분 만이 남았습니다.

[윤미향/정의기억연대 이사장 : 보여줬으면 좋겠어요, 김복동 할머니가 '죽었지만 죽은 게 아니다'라는 것, 가해자에게 '일본군 성 노예 피해를 올바르게 해결하라'라는 목소리로….]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를 넘어 평화 인권 운동의 상징으로 남은 김복동.

할머니의 뜻을 이어가는 건 우리의 숙제로 남았습니다.

(영상취재 : 박현철, 영상편집 : 원형희)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