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라돈 침대 7만 개 수거해 놓고…처리도 못 하고 방치

<앵커>

피해자들을 더 불안하고 또 답답하게 하는 것은 이것이 몸에 얼마나 나쁜지, 또 어떤 영향이 있는 것인지 제대로 된 연구가 이뤄지지 않고 있다는 점입니다. 또 정부가 지금 수거해 놓은 문제의 매트리스가 7만 개가 넘는 데 이걸 어떻게 처리할지 아직 방법도 찾지 못하고 있습니다.

계속해서 최재영 기자입니다.

<기자>

라돈 침대와 폐질환의 관계를 직접 입증해야 하는 피해자들은 답답합니다.

[라돈 침대 피해자 : 제가 법률가도 아니지만, 피해자 보고 입증을 하라고 하니까요.]

침대와 같은 신체밀착형 제품에서 라돈이 발생한 것은 세계적으로 유례가 없다는 점에서 장기적인 추적 조사와 연구가 필요하지만 정부는 아직 소극적입니다.

[원자력안전위원회 직원 : 라돈 같은 경우는 방사선 수치가 낮은 선량이 건강에 영향을 미친다고 명확하게 입증하기가 쉽지 않아요.]

폐기물 처리도 더딥니다.

수거된 라돈 침대 폐기물을 씌워놓은 비닐도 찢어져 라돈이 방출되는 폐기물들이 모두 드러나 있었습니다.

[공장 직원 : 우리 마음대로 처분할 수 없는 상황이잖아요. (어떻게 한대요, 정부에서?) 저희도 모르겠어요.]

기준치 이상의 라돈이 검출된 생활제품이 방사능 폐기물로 규정되지 않아 방폐물 처리 시설로 갈 수는 없기 때문입니다.

그럼 이제 남은 것은 저기 있는 폐기물들을 통째로 다 땅에 묻을 것인지, 아니면 불에 태워서 재만 땅에 묻을 것인지, 이 두 가지를 결정해야 되는 것만 남았습니다.

하지만 아직까지 어떻게 할지 결정하지 못하고 있습니다. 소각할 때 나오는 방사능이 기준을 넘을 수 있기 때문입니다.

[환경부 직원 : 실질적으로 라돈 침대를 처리할 수 있는 업체가 있는지 사전에 업체들 불러서 협의를 하고… 하반기에 법령 개정을 추진하려고 할 계획입니다.]

폐기물 관련 규정의 재정비와 함께 라돈 침대가 폐 질환과 관계가 있는지, 있다면 어느 정도인지, 시간이 걸리는 조사인 만큼 정부가 나서 달라는 것이 피해자들의 요구입니다.

(영상취재 : 김태훈, 영상편집 : 김준희)   

▶ 발암물질 나온 '라돈 침대' 결국 불기소…피해자들 반발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