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15억 초과 아파트 대출 금지…분양가상한제 지역 확대

15억 초과 아파트 대출 금지…분양가상한제 지역 확대
시가 15억 원을 넘는 아파트에 대한 주택담보대출이 원천 금지되는 등 고가 주택에 대한 대출 규제가 대폭 강화됩니다.

시가 9억 원 초과 주택 보유자에 대해선 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DSR) 규제가 더 촘촘해지고, 실수요자에게 예외적으로 부여한 처분·전입 유예 기한이 2년에서 1년으로 줄어듭니다.

주택금융공사와 주택도시보증공사(HUG)로 제한됐던 전세대출 규제는 서울보증보험 등 민간 시장까지 확대됩니다.

금융위원회와 국토교통부, 기획재정부 등 정부부처는 16일 이런 내용 등을 담은 주택시장 안정화 방안을 발표했습니다.

안정화 방안은 금융 부문에서 소화할 수 있는 사실상 가장 높은 수준의 대출규제를 포함하고 있습니다.

우선 투기지역·투기과열지구 등 규제지역 내 시가 15억 원 초과 초고가 아파트를 구입하기 위한 주택담보대출을 17일부터 원천 금지하기로 했습니다.

이 규제는 전 금융권 가계대출에 적용되며 주택임대업·매매업 개인사업자나, 법인, 개인 등에 제한을 두지 않습니다.

15억 초과 아파트는 현금으로만 구입하라는 의미입니다.

규제지역 내 시가 9억 원 초과 주택에 대해선 23일을 기해 주택담보대출비율(LTV) 규제를 추가로 강화하기로 했습니다.

기존에는 대출액 모든 구간에 LTV 40%를 균등하게 적용했지만 앞으로는 9억 원을 초과하는 부분에 대해선 LTV를 20%만 적용합니다.

이런 방식을 적용하면 시가 9억 원 초과 주택의 대출한도가 줄어듭니다.

일례로 시가 14억 원 주택에 대해 대출을 받을 경우 기존에는 5억 6천만 원까지 가능했지만 앞으로는 4억 6천만 원까지 받을 수 있습니다.

시가 9억 원을 넘는 주택을 보유한 사람은 DSR 규제도 더 강하게 받습니다.

금융회사별 DSR 관리 시스템을 차주별로 바꾸는 것입니다.

즉 기존 DSR 규제에서 은행은 자 은행 내 DSR 평균을 40% 이내로 관리하면 됐습니다.

특정 고객에게 DSR 20%를 적용했다면 다른 고객에게는 60%로 적용해도 되는 방식입니다.

DSR은 모든 가계대출 원리금상환액을 연간소득으로 나눈 개념입니다.

앞으로는 시가 9억 원이 넘는 주택에 대해선 대출자별로 40%(비은행권은 60%)를 넘을 수 없습니다.

LTV나 총부채상환비율(DTI)처럼 즉각적인 대출한도 제한 효과를 내게 된다는 의미입니다.

실수요자를 대상으로 적용해주던 처분·전입 유예 인정 기한도 기존 2년에서 1년으로 줄입니다.

기존 규제에서 무주택세대는 고가주택(공시가격 9억원 초과)을 구입하는 경우에 2년 내 전입하는 것을 조건으로 주택대출을 허용해줬습니다.

앞으로는 1년 이내에 전입해야 합니다.

이 규제상에서 고가주택의 기준선도 공시가격 9억 원(시가 13억~14억 원)을 시가 9억 원으로 바꿨습니다.

규제지역 내 1주택세대가 2년 내 기존 주택을 처분하는 조건으로 대출을 내줬던 예외조항도 1년 내 처분으로 바뀝니다.

주택임대업 개인사업자대출에 대하여 이자상환비율(RTI)는 기존 1.25배 이상을, 1.5배 이상으로 올리기로 했습니다.

RTI는 연간 임대소득을 해당 임대업 대출의 연간이자비용과 해당 임대물건에 대한 기존 대출의 연간 이자비용으로 나눈 개념입니다.

갭투자 방지 차원에서 전세대출 규제도 강화합니다.

시가 9억 원 초과 주택 구입·보유자에 대한 공적 전세보증(주택금융공사·주택도시보증공사) 제한조치는 서울보증보험 등 민간 전세보증시장까지 확대하기로 했습니다.

전세자금대출 후 신규주택 매입도 엄격하게 제한합니다.

기존에는 2주택 이상을 보유한 경우라도 전세보증 만기까지는 기다려줬지만, 앞으로는 적발 시 즉시 전세대출을 회수할 수 있도록 '기한이익 상실' 조항을 넣습니다.

금융위 관계자는 "주택담보대출 추이와 대출규제 우회·회피 사례 등을 예의주시하면서 필요하면 규제 보완·강화 장치를 마련할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사진=연합뉴스)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