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산사태 안전' 5등급인데 와르르…'취약 지역' 관리도 허술

<앵커>

태풍 '미탁'으로 인한 피해가 컸던 것은 수해 대책을 제대로 세우지 않았기 때문이라는 지적이 제기되고 있습니다. 특히 산사태 대책이 부실했던 것으로 드러났습니다. 산사태 위험 정도에 따라 예방 대책이 마련돼야 하는데 위험 등급 책정도 허술하고, 또 정확한 실태 파악도 못 하고 있었다는 것입니다.

G1 홍서표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기자>

태풍 미탁에 산사태가 발생한 강릉 도심의 한 야산입니다.

태풍이 지나간 지 열흘이 넘었지만, 시뻘건 속살을 드러낸 채 당시 급박했던 상황을 그대로 보여주고 있습니다.

처참하게 무너진 이 야산의 경우 산림청 산사태 정보시스템에서의 안전 등급은 5등급, 다시 말해 무너질 위험이 없다고 평가된 곳입니다.

인근의 또 다른 야산, 사면 곳곳이 패었고 쌓아 놓은 포대가 흙이 쓸려 내려오는 것을 간신히 막고 있습니다.
강릉 도심의 한 야산 산사태 피해
이곳 역시 산사태 등급은 3등급, 위험이 낮다고 평가된 지역입니다.

[이인자/강릉시 교동 : 안전하다고 못 보지. (평가가 안전하다면) 제대로 안 됐지. 이번에 보니 얼마나 놀랐는지 간이 콩만 해졌잖아.]

산림청이 산사태의 위험이 낮거나 없다고 본 지점이 무너져 내린 것입니다.

그렇다면 산사태 위험 등급이 높은 곳은 어떨까.

이번 태풍에 산사태 피해가 컸던 삼척시 근덕면의 한 야산입니다.

이곳의 안전 등급은 2등급으로 무너질 위험이 높은 곳으로 평가돼 있습니다.
강릉 도심의 한 야산 산사태 피해
하지만 자치단체가 집중 관리하는 '산사태 취약 지역' 목록에는 포함되지 않은 것으로 확인됐습니다.

산림청과 지자체는 지난 2013년부터 1, 2등급 지역을 대상으로 조사를 벌여 취약 지역을 지정하고 사방사업 등 재해 예방 대책을 수립하고 있습니다.

문제는 예산이 적어 조사 자체가 늦어지면서 재해 예방 대책도 더디다는 것입니다.

강원도의 경우 조사 대상 2만1천여 곳 중 2천7백여 곳만 조사돼 10곳 중 9곳은 아직 조사도 못 했습니다.

[산림청 관계자 : 산림청에서 조사가 필요한 대상지를 13만9천 개소 정도를 뽑아는 놨는데 예산이나 이런 한계 때문에…]

결국 반복되는 태풍과 집중호우에도 대책도 없이 피해를 당할 수밖에 없어 애꿎은 주민들만 해마다 불안에 떨 수 밖에 없는 상황입니다.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