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흉기 · 토치 들고…'강아지 불법 도축' 시도한 남성 입건

<앵커>

오늘(12일)이 초복인데요, 여름 복날마다 반복되는 논란거리가 개고기 문제입니다. 오늘도 곳곳에서 개 식용에 반대하는 사람들의 집회가 이어졌고, 헐리우드 배우 킴 베이싱어까지 가세하며 목소리를 냈습니다.

개 식용에 찬성하는 사람들도 바로 옆에서 집회를 열었는데요, 먼저, 아직도 잔혹하게 개를 학대하는 현장, 안희재 기자가 전해드리고 이어서 개 식용을 둘러싼 뜨거운 찬반 논란 박재현 기자가 전해드립니다.

<기자>

자루 안 무언가 격렬하게 몸부림칩니다.

모습을 드러낸 것은 1살이나 넘었을까 싶은 검은색 강아지, 목을 꽉 조인 끈에 숨이 막혀 헐떡거리고 제대로 걷지도 못합니다.

[박현수/신고자 : (끈이) 강아지 목에 이렇게 꽉 조여 있었어요. 얼굴이 터질 듯 이렇게 해서···.]

온몸은 화상과 함께 상처투성입니다.

현장을 목격한 박현수 씨는 두 남성이 불법 도축을 시도했다고 말합니다.

[박현수/신고자 : 오른손으로 칼을 들고, 왼손에는 토치를 들고 지지면서 강아지 왼쪽 허벅다리···.]

박 씨가 제지하자 이들은 강아지를 자루에 넣고 달아나려 했고 박 씨가 한 사람을 붙잡는 사이 다른 남성은 그대로 달아났습니다.

구조된 강아지는 급히 근처 병원으로 옮겨졌습니다.

[김상현/강아지 치료 병원장 : 처음에 내원했을 때는 강아지가 화상을 입어서 의식이 많이 없었어요. 저혈압 쇼크 증상이었죠.]

경찰은 현장에서 붙잡힌 67살 최 모 씨를 동물보호법 위반 등 혐의로 입건하고 달아난 남성을 쫓고 있습니다.

이곳에서 강아지를 학대하던 이들은 초복을 앞두고 강아지를 잡아먹으려 했던 것으로 보입니다.

88년 서울 올림픽 이후 개 식용을 둘러싼 논란은 수십 년째 계속돼 왔는데요, 최근 개 식용 반대 여론이 점차 거세지는 가운데 논란은 여전히 진행 중입니다.

이번에도 국회 앞에서는 대규모 찬반 집회가 열렸습니다.

(영상취재 : 설민환, 영상편집 : 소지혜)  

---

올해도 어김없이 국회 앞에서는 개고기 식용에 대한 찬반 집회가 열리고 있습니다.

각각 어떤 입장인지 들어보겠습니다.

먼저 식용 반대론자.

[이지연/동물해방물결 공동대표 : 동물 금지법을 즉각 심사, 통과시키고 대한민국 개 도살 잔혹사를 끝내라. 또 다시 복날이 밝았다. 대한민국 개들의 삶은 나아졌는가. 국회와 정부는 그동안 무엇을 했는가.]

개 도축 금지를 법제화해달라는 겁니다.

전기 도살된 개 사체 모형을 앞에 두고, 국회 앞 시위를 벌였습니다.

미국 동물보호단체도 가세했습니다.

[킴 베이싱어/미국 헐리우드 배우 : 말 못하는 개들을 위한 목소리가 돼주십시오. 개들은 당신의 눈물이 필요하지 않습니다. 당신의 도움이 필요합니다.]

바로 5m 옆에서는 개고기 식용 찬성 맞불 집회가 열렸습니다.

[주영봉/대한육견협회 사무총장 : 개 사육과 도축과 유통과 소비가 지금도 여전히 합법입니다. 단 한번도 개고기가 불법인 역사가 없었습니다.]

개고기를 가져와 집회 중에 시식하기도 했습니다.

오랜 논란을 거치면서 여론은 개 식용 반대로 기우는 추세입니다.

지난해 7월에는 개, 고양이 도살 금지 법안을 통과시켜달라는 청원에 21만 명이 동의해 청와대가
가축에서 개를 제외하는 방안을 추진하겠다고 답하기도 했습니다.

[최재관/청와대 농어업비서관 : 이번 청원을 계기로 가축에서 개를 제외하도록 축산법 관련 규정 정비를 검토하겠습니다.]

하지만, 1년이 지난 지금, 달라진 것은 없습니다.

개를 가축에서 제외하고 도살을 금지하는 등의 개 식용 반대 법안이 2건 발의됐지만 모두 상임위에 발이 묶여 있습니다.

개 식용을 법으로 금지하려면 4천여 식용 개 농가의 생계 대책을 마련해주는 등 사실상의 합의가 필요한데, 뾰족한 수가 없기 때문입니다.

농림수산식품부도 시행령으로 개를 가축에서 제외할 수 있지만, 사회적 합의가 필요하다며 국회 논의만 바라보고 있습니다.

[농림부 관계자 : 관련 법안이 국회에 발의돼 있는 상태에서 시행령 규칙을 바꾼다는 게, 없었으면 모르겠습니다만 있는 상태에서 바꾸기는···.]

혐오 식품이냐, 전통 음식 문화냐 찬반양론이 뜨거운 만큼 여론 추이에 맞춰 문제를 풀어갈 수 있도록 제도적 논의 틀부터 갖추는 게 필요합니다.

(영상취재 : 서진호·김남성, 영상편집 : 전민규)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