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5G, 언제쯤 잘 터질까? "5G 기지국 수, LTE의 10분의 1"

5G, 언제쯤 잘 터질까? "5G 기지국 수, LTE의 10분의 1"
5G(5세대) 이동통신이 상용화된 지 2주일이 넘었지만, 사용자 불만이 여전합니다.

사용자들은 5G 커버리지의 한계로 5G가 잡히는 곳이 극히 적고, 신호가 잡히더라도 LTE 대비 빠른 속도를 체감하지 못하겠다고 비판하고 있습니다.

5G에서 LTE로 전환할 때 먹통이 된다거나, 5G 때문에 LTE 속도가 느려졌다는 불만도 심심치 않게 나옵니다.

언제쯤 5G를 현재 LTE처럼 안정적으로 쓸 수 있게 될까요.

오늘(20일) 업계에 따르면, 이동통신 3사는 안정적인 5G 품질을 확보하는 데에는 최소 1∼2년의 시간이 더 걸릴 것으로 내다보고 있습니다.

우선 초기 5G 커버리지를 확보하려면 기지국 대수가 절대적으로 중요한데, 이를 구축하는 데 시간이 걸립니다.

변재일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과학기술정보통신부에서 제출받은 5G 기지국 신고 장치 현황에 따르면 이달 3일 기준 전국에 설치된 5G 기지국은 8만 5,261개였습니다.

SK텔레콤이 3만 8,213개, KT가 3만 5,264개, LG유플러스가 1만 1,784개입니다.

이중 서울·수도권에 설치된 5G 기지국이 5만 4,899개(64.4%), 5대 광역시에 설치된 기지국이 1만 8,84개(21.2%)입니다.

2011년 상용화된 LTE의 경우 올해 3월 기준 기지국 수는 SK텔레콤이 37만 6,829개, KT가 21만 5,010개, LG유플러스가 24만 551개로 3사를 합쳐 총 83만 2,380개로 5G 기지국 수는 LTE 기지국 수의 10분의 1 수준입니다.

SK텔레콤은 연내 5G 기지국을 7만 개, LG유플러스는 상반기 5만 개, 연내 8만 개까지 늘리겠다고 밝힌 바 있습니다.

KT는 연내 목표 구축 대수를 공개하지는 않았지만, 타사와 비슷한 수준으로 구축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이통사 관계자는 "전국망 구축 최소 기지국 대수를 12만대 수준으로 보면, 내년은 되어야 서비스지역을 전국으로 넓힐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고 설명했습니다.

다만 기지국 수만으로 네트워크 품질이 결정되지는 않습니다.

예를 들어 기지국이 너무 촘촘히 설치돼 커버리지 중첩 지역이 많아도 품질이 떨어질 수 있습니다.

그만큼 네트워크 운용 능력이 중요하다고 통신사들은 설명합니다.

실내나 지하에서 5G를 이용하는 것은 또 다른 얘기입니다.

5G 주파수는 직진성이 강해 장애물이 있으면 전파가 도달하지 못하는 특성이 있습니다.

실내에서 이용하려면 별도의 중계기를 달아야 하는데 현재는 실내에서 거의 이용할 수 없는 수준입니다.

이통사 관계자는 "초기에는 우선 외부 커버리지 확대에 중점을 두게 될 것"이라며 "실내 품질확보도 병행해서 진행하겠지만, 올해에는 비약적으로 상황이 좋아지기 힘들다"고 밝혔습니다.

다만 "내년부터는 실내에서도 점차 이용할 수 있게 될 것 같다"고 덧붙였습니다.

LTE 대비 20배 속도(20Gbps), 초저지연 등 이통사에서 홍보한 5G 특성을 제대로 느낄 수 있으려면 28GHz 주파수 대역 기지국 구축도 필수적입니다.

아직 통신사들은 이에 대한 계획을 밝힌 바가 없습니다.

28GHz 대역은 대역폭이 넓은 만큼 대용량 트래픽을 빠르게 처리할 수 있습니다.

28GHz 대역은 현재 5G 전국망 구축에 사용하는 3.5GHz 대역보다 직진성이 강하고 도달거리가 짧아 더욱 촘촘한 기지국 설치가 필요합니다. 

(사진=연합뉴스)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