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중국發 반도체 공급과잉 우려…웨이퍼 생산라인 10년새 두배로

최근 글로벌 메모리 반도체 시장의 다운턴(하락국면)이 이어지는 가운데 올해와 내년 300㎜ 웨이퍼 팹(반도체 생산라인)의 신규 가동이 집중적으로 이어지면서 과잉공급 우려가 심화할 것이라는 관측이 나왔습니다.

특히 이른바 '반도체 굴기(堀起)'를 외치며 공격적인 투자에 나선 중국에서 설비 가동이 집중될 것으로 예상돼 업계 판도에 미칠 영향도 주목됩니다.

18일 업계와 글로벌 시장조사업체 IC인사이츠 등에 따르면 올해 전세계에서 새로 가동에 들어가는 300㎜ 웨이퍼 팹은 모두 9곳으로, 지난 2007년(12곳) 이후 12년 만에 최대 규모가 될 것으로 전망됐습니다.

이어 내년에도 6곳이 추가로 가동될 예정이어서 지난해 112개였던 전세계 300㎜ 웨이퍼 팹은 내년 말까지 127곳으로 13.4% 늘어나게 됩니다.

과거 150㎜와 200㎜ 웨이퍼 위주였던 글로벌 메모리 반도체 업계에서 300㎜ 웨이퍼가 주력으로 부상했던 지난 2008∼2009년(각 68곳) 이후 10년 만에 2배 수준으로 늘어나는 셈입니다.

웨이퍼는 클수록 생산 효율성이 높아지기 때문에 300㎜ 웨이퍼 팹이 늘어난다는 것은 그만큼 공급 물량에 가속도가 붙을 수 있다는 의미입니다.

특히 올해와 내년 가동이 예정된 15곳 가운데 대부분은 D램과 낸드플래시 등 메모리 제품을 생산하는 시설이어서 최근 가격 급락세로 '실적 부진'에 시달리는 메모리 업계에 추가 부담이 불가피할 것으로 점쳐집니다.

더욱이 올해 새로 가동에 들어가는 300㎜ 웨이퍼 팹 9곳 가운데 절반 이상인 5곳은 중국에 위치한 것으로 나타나 '중국발 과잉공급' 우려가 현실화하는 게 아니냐는 우려도 있습니다.

그러나 다른 한편에서는 중국의 반도체 사업이 당초 예상만큼 고속성장을 이루기는 어렵다는 전망도 나옵니다.

반도체 산업에 대한 대규모 투자를 포함하는 '중국 제조 2025' 프로젝트가 미중 무역전쟁이라는 벽에 부딪힌데다 기술 측면에서는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 등을 좀처럼 따라잡지 못하고 있기 때문입니다.

최근에는 외국기업 인수합병(M&A)으로 눈을 돌렸지만 이마저 미국의 견제로 잇따라 고배를 마셨고, 생산시설 고도화를 위한 장비 수입마저 도널드 트럼프 행정부의 거부로 사실상 막힌 상태입니다.

실제로 IC인사이츠는 최근 보고서에서 "중국이 앞으로 몇년간 대규모 투자에 힘입어 반도체 수입 의존도를 낮출 수는 있겠지만 미국의 견제 등으로 난항을 겪을 것"이라면서 오는 2023년 글로벌 반도체 시장에서 점유율도 8.2%에 그칠 것이라고 전망했습니다.

업계 관계자는 "중국의 '반도체굴기'가 당초 예상만큼 빠른 성과를 내지 못하는 것은 사실"이라면서 "그러나 대규모 투자에 따른 생산확대는 중장기적으로 시장 전체에 부담이 될 수 있다"고 말했습니다.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