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취재파일] 기온 상승 멈춰도 해수면은 빠르게 상승…2300년 7억 명이 위험에 빠질 수도

[취재파일] 기온 상승 멈춰도 해수면은 빠르게 상승…2300년 7억 명이 위험에 빠질 수도
2015년 12월 파리에서 열린 제21차 유엔기후변화협약(UNFCCC) 당사국총회(COP21)에 참석한 전 세계 195개국은 2100년까지 지구 평균기온을 산업화 이전 대비 2℃ 이상 올라가지 않도록 하고 나아가 1.5℃를 넘지 않도록 온실가스 배출을 단계적으로 감축한다는 데 합의했다. 이른바 파리 기후변화협정이다.

특히 파리 총회에서는 기후변화에 관한 정부 간 협의체(IPCC)에 지구 평균기온 1.5℃ 상승에 대한 영향과 온실가스 배출 경로에 대한 특별보고서를 작성할 것을 요청했다. 이렇게 해서 만들어진 것이 <지구온난화 1.5℃> 특별보고서로 지난 9월 28일부터 10월 8일까지 인천 송도에서 열린 제48차 IPCC 총회에서 만장일치로 채택됐다.

지구 평균기온 상승 폭을 2℃, 가능하면 1.5℃ 이내로 묶으면 어떤 효과가 있기에 인류가 여기에 매달리고 있는 것일까? 지금까지 여러 연구 결과가 나왔지만 최근 지구온난화로 인해 해수면이 어느 정도나 상승하고 또 이로 인해 얼마나 많은 사람이 위험이 빠질 수 있는지에 대한 새로운 연구 결과가 발표됐다.

영국과 독일 공동연구팀은 지구 시스템 모델을 이용해 온실가스 배출에 따라 지구 평균기온이 어떻게 상승하는지 또 기온 상승에 따라 해수면 높이는 얼마나 올라가고 그에 따른 피해는 어느 정도나 될 것인지 산출하는 실험을 했다(Brown et al., 2018; Aimée Slangen, 2018).
지구 온난화 (사진=게티이미지코리아)
실험결과 2100년까지 지구 평균기온이 산업화 이전 대비 1.5℃ 이상 올라가지 않도록 온실가스 배출량을 줄일 경우 해수면 높이는 2100년까지 평균 0.4m 상승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2100년 이후 기온이 더 이상 올라가지 않아도 해수면 높이는 지속적으로 올라가 2300년에는 해수면 높이가 1m까지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기온 상승이 멈춘다고 해서 곧바로 해수면 상승이 멈추는 것이 아니라 해수면은 오히려 더욱더 가파르게 높아질 수 있다는 것이다.

2100년까지 지구 평균기온 상승폭이 2℃를 넘지 않도록 온실가스 배출량을 줄일 경우 해수면 높이는 2100년까지 평균 0.46m 상승하고, 2300년까지는 1.26m 올라가는 것으로 나타났다. 2100년까지는 지구 평균기온 상승폭을 1.5℃로 묶을 때와 해수면 상승 높이가 큰 차이는 없지만 2100년 이후에는 시간이 지날수록 차이가 커지는 것으로 나타난 것이다.

특히 온실가스 배출량을 줄이지 않고 지금처럼 계속해서 배출할 경우(RCP8.5) 2100년에는 지구 평균기온이 산업화 이전에 비해 평균 4.93℃ 올라가고 2300년에는 평균 9.52℃나 상승할 것으로 예측됐다. 특히 해수면 높이 또한 급격하게 높아져 2100년에는 평균 0.8m, 2300년까지는 평균 4.48m나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구기온 상승폭을 1.5℃나 2℃로 묶을 때와 비교하면 지속적으로 온실가스를 배출할 경우 시간이 지날수록 해수면이 기하급수적으로 높아진다는 것을 보여주는 대목이다.

지구 평균기온이 2100년까지만 올라가고 그 이후에는 더 이상 올라가지 않는다고 하더라도 해수면 상승이 멈추지 않고 계속해서 올라가는 것은 이미 높아진 기온 때문에 바닷물의 온도가 올라가면서 바닷물이 계속해서 팽창하고 빙하 또한 계속해서 녹아내릴 수 있기 때문이다.

연구팀은 특히 이 같은 해수면 상승으로 인해 피해가 발생할 수 있는 해안 지역 면적이 어느 정도나 되는지 산출했다. 해수면 상승으로 인한 피해 지역은 해수면 상승으로 인해 100년에 1번 주기로 해수 범람이 발생할 수 있는 지역을 계산한 것이다.
지구 온난화 (사진=게티이미지코리아)
산출결과 지금까지의 온난화와 해수면 상승으로 100년에 1번 정도 바닷물이 범람할 수 있는 지역의 면적이 이미 54만km²나 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우리나라 면적이 10만km² 정도인 점을 고려하면 우리나라 면적의 5배 정도가 이미 온난화로 인한 해수면 상승으로 침수 위기에 놓여 있다는 것이다. 이 같은 해수 범람 위험 지역은 2100년까지 지구 평균기온 상승폭을 1.5℃로 묶을 경우 2100년에는 62만km², 2300년에는 70만 2천km²로 늘어날 것으로 추정됐다.

특히 온실가스 배출량을 줄이지 않을 경우 해수 범람 위험 지역은 2100년에는 74만km², 2300년에는 163만km²까지 늘어날 것으로 예측됐다. 2100년까지는 해수 범람 위험 지역이 온실가스 배출을 적극적으로 줄일 때(62만km²)와 줄이지 않을 때(70만km²) 큰 차이가 없지만 2300년에는 차이가 급격하게 늘어나 현재 범람 위험에 처한 면적보다 3배 이상까지 면적이 넓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물론 해수면 상승에 따른 해안 방어벽 설치 등은 고려하지 않은 결과다.

해수면이 상승하게 되면 해안 지역에 거주하는 사람은 당연히 해수 범람 위험에 빠질 위험성이 높아진다. 연구팀은 온실가스 배출량을 적극적으로 줄일 경우 2300년 해수 범람 위험에 노출되는 사람은 전 세계 인구의 1.2%에 불과하지만 온실가스 배출량을 줄이지 않게 되면 전 세계 인구의 7.6%가 해수 범람 위험에 그대로 노출될 것으로 전망했다. 2300년 전 세계 인구가 90억 명 정도 될 것이라는 UN의 장기 전망을 고려할 경우 온실가스 배출량을 줄이지 않을 경우 전 세계에서 7억 명 정도가 해수면 상승으로 인한 해수 범람 위험에 처할 가능성이 있다는 뜻이다.

최근 폴란드 카노비체에서 열린 제24차 유엔기후변화협약 당사국총회(COP24)에서는 구체적인 합의 내용이 공개되지는 않았지만 탄소 배출량 산정 방식과 보고 방법 등에 합의한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하지만 지구 평균 기온 상승폭을 1.5℃ 이내로 묶기 위한 구체적인 온실가스 감축 계획이 들어 있는 <지구온난화 1.5℃> 특별보고서에 대해서는 회원국 사이에 "참고만 한다(note)"와 "환영한다(welcome)"로 나뉘어 지속적으로 대립하다 결국 합의 채택에 실패했다. 갈 길은 멀고 마음은 급한데 미국과 러시아, 사우디아라비아, 쿠웨이트 등이 보고서의 문구나 내용을 문제 삼았다. 모두가 석유와 석탄, 가스 등 온실가스를 내뿜는 화석연료 산업에 대한 의존도가 큰 나라다.

온실가스 배출을 일찍 적극적으로 줄이지 않을 경우 해수면 높이가 급격하게 높아지는 것처럼 피해는 시간이 흐를수록 눈덩이처럼 불어난다. 거꾸로 생각하면 온실가스 배출을 일찍 적극적으로 줄이면 줄일수록 그 효과는 시간이 지날수록 기하급수적으로 커진다는 뜻이다. 해수면 상승의 경우만 보더라도 온실가스 배출량을 일찍 줄이면 적어도 전 세계에서 5~6억 명이 위험을 피할 수 있다.

<참고문헌>

* S. Brown, R. J. Nicholls, P. Goodwin, I. D. Haigh, D. Lincke, A. T. Vafeidis, & J. Hinkel, (2018). Quantifying Land and People Exposed to Sea-Level Rise with no Mitigation and 1.5℃ and 2.0℃ Rise in Global Temperatures to Year 2300. Earth's Future, 6, 583-600, https://doi.org/10.1002/2017EF000738

* Aimée Slangen. (2018). How humans and rising seas affect each other, Nature.
https://www.nature.com/articles/d41586-018-05366-9

(사진=게티이미지코리아)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