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버리지도 못하는 '외국산 라돈 라텍스'…속 타는 소비자

<앵커>

이처럼 원안위가 외국산 라텍스에 대해서는 조사와 또 대책 마련이 미온적인 건 현행법상 해외 직구 제품에 대해서는 책임을 묻기 어렵다는 게 그 이유입니다. 이러다 보니 소비자들만 속을 태우고 있습니다.

계속해서 강청완 기자입니다.

<기자>

비닐에 꽁꽁 싸인 라텍스 베개와 매트리스가 아파트 다용도실 구석에 처박혀 있습니다.

비싼 돈 주고 산 제품인데 라돈이 나온다니 쓰지도 못하고, 버리지도 못하고 몇 달째 보관하는 겁니다.

[라텍스 제품 사용자 : 푸켓으로 신혼여행 갔을 때 (샀는데) 180만 원 정도 했던 것 같아요. 그냥 내버리면 그거 다 어디로 가겠어요. 그래서 버리지 못하고 또 끌어안고 있는 거고.]

혹시나 싶어 원자력안전위원회나 지자체에 문의해 봤지만 실망스런 대답만 돌아왔습니다.

국내에서 생산된 침대의 경우 관련법의 적용을 받지만, 소비자가 개인적으로 들여온 해외 직구 제품은 규제 권한이 없다는 겁니다.

[라텍스 제품 사용자 : 어떤 분은 또 구청에다 물어봤대요. 어떻게 버려야 되냐고 했더니, 폐기물 딱지 붙여서 버리라고 그랬다고….]

일부 지자체는 쏟아지는 민원에 직접 수거에 나섰습니다.

한곳에 따로 쌓아놓기는 했는데, 어떻게 처리해야 할지 원안위에 물어도 기다리라는 답변만 돌아와 버리지도 못하고 계속 보관하는 상황입니다.

[서초구 관계자 : 컨테이너를 하나 빌려 가지고 거기다 그냥 넣어놨죠. 컨테이너값도 우리가 한 달에 십몇만 원씩 주고… (정부가) 빨리 좀 결정을 해서 자기네들이 어디 가져가게 한다든가 해줘야 될 텐데 참 답답하기는 해요.]

[이종걸 의원/국회 과방위 (더불어민주당) : 개정법을 빨리 절차를 진행하고, 또 그걸 기다릴 수 없기 때문에 사용 제한 조치라든지 폐기하는 방법, 그리고 폐기하더라도 어떻게 보관시켜서 이것을 사후 조치할 것인지를 국민들에게 빨리 알려야(합니다.)]

국내에 반입된 것으로 추정되는 외국산 라텍스는 최소 1만여 개. 라돈 라텍스 처리 방법에 대한 정부의 적극적인 대처가 필요합니다.

(영상취재 : 신동환, 영상편집 : 김호진)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