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리포트+] 이국종 "헬기 쓰는 이유 알아야"…헬기 3대에도 '골든아워' 놓쳐 사망한 해경

[리포트+] 이국종 "헬기 쓰는 이유 알아야"…헬기 3대에도 '골든아워' 놓쳐 사망한 해경
[리포트+] 이국종 '헬기 쓰는 이유 알아야
환자의 생사를 결정지을 수 있는 시간 '골든아워'. 사고가 발생한 뒤 수술 등의 치료가 이뤄져야 하는 최소한의 시간을 말하는데요. 일반적으로 중증외상 환자의 경우 1시간, 즉 60분 이내가 골든아워입니다. 이 시간 안에 치료하기 위해 지난 2011년 우리나라에도 '날아다니는 응급실'로 불리는 닥터헬기가 도입됐습니다.

닥터헬기가 도입되면서, '환자가 있는 곳이면 어디든 날아갈 수 있겠다'라고 생각하는 사람들이 많은데요. 실상은 그렇지 않습니다. 오늘 리포트+에서는 수백억 원이 넘는 세금이 투입된 닥터 헬기가 환자를 이송하는 과정에 어떤 한계가 있는지, 해결책은 없는지 짚어봤습니다.

■ 허벅지 잘린 '중증외상' 해경...헬기 3대나 있었는데 사망에 이른 이유는?

지난달 10일 오전, 전남 여수 앞바다에서 해상종합훈련에 나선 해경 승무원 57살 박 모 씨가 쓰러졌습니다. 닻을 올리고 내리는 양묘기에 다리가 끼인 겁니다. 박 씨는 왼쪽 허벅지가 절단되는 중증외상을 입어 치료가 시급한 상황이었습니다. 사고 함정은 즉시 부두로 이동했고 여수해경은 상급기관인 서해지방청과 119구조대, 닥터헬기 운영업체 등 3곳에 헬기 지원을 요청했습니다.

하지만 헬기 3대는 부두 근처에 착륙하지 않았습니다. 무슨 일이 있었던 걸까요? 우선 전남 닥터 헬기는 부두가 허가받은 인계 장소가 아니라는 이유는 이륙하지 못했습니다. 119구조대 헬기는 해경이 자신들의 헬기를 사용하겠다고 해 역시 뜨지 않았습니다. 그런데 정작 먼저 나선 해경은 부두에서 직선거리로 5.3km 떨어진 헬기장에 헬기를 대기시켜놓고 박 씨를 구급차로 실어오라고 했습니다.
[리포트+] 이국종 '헬기 쓰는 이유 알아야
해경 관계자는 "헬기가 착륙하려면 경사각도 나와야 되고, 주변에 날리는 비산물도 없어야 되고, 인원도 없어야 한다"며 "학교 운동장 같은 장소도 바닥 포장이 안돼 있어 위험하다"며 헬기가 부두 근처에 갈 수 없었던 이유를 설명했습니다. 결국 구급차는 해경 헬기보다 가까운 곳에 위치한 병원으로 박 씨를 옮겼습니다.

하지만 해당 병원에서는 큰 병원으로 옮겨야 한다며 응급처치만 이뤄졌고 박 씨는 다시 구급차로 약 1시간 반을 이동해 전남대 병원에 도착했습니다. 그러나 박 씨는 결국 병원에 도착한 지 20분 만에 사망 판정을 받았습니다. 박 씨가 우여곡절 끝에 사고 4시간 14분 만에 도착한 전남대 병원은 헬기로는 40분 거리입니다.
* SBS 보이스(Voice)로 들어보세요

■ "원칙적으로 인계점에만 착륙해야"…지정돼 있는 인계점도 관리 엉망

보건복지부에 따르면 지난해 9월까지 닥터 헬기로 이송한 환자 수는 5000명을 돌파했습니다. 많은 응급환자를 구하고 있지만, 전문가들은 더 많은 사람을 구할 수 있었다고 지적합니다. 처음부터 헬기로 이송됐다면 중증외상 치료의 골든아워인 1시간 이내에 치료를 받을 수도 있었던 박 씨. 특히 중증외상이나 병원과 멀리 떨어진 지역에 거주하는 환자들을 위해 도입된 닥터 헬기가 이륙조차 하지 못한 데는 구조적인 문제가 있습니다.

현재 우리나라에는 인천, 충남 천안, 전남 목포, 경기 수원, 강원 원주 등 6대의 닥터 헬기가 있습니다. 전국 각지에 배치돼 있기 때문에 활용도가 높을 것 같지만, 닥터 헬기는 대형 재난 상황이 아닌 이상 사전에 승인받은 장소에만 이륙과 착륙이 가능합니다. 이 장소를 '인계점'이라고 부르는데요. 지난달 사고에서 전남 닥터 헬기가 이륙하지 못한 이유도 해당 부두가 인계점이 아니었기 때문입니다.
[리포트+] 이국종 '헬기 쓰는 이유 알아야
실제로 여수, 순천, 광양에는 닥터 헬기의 인계점이 없습니다. 여수시 도서 지역인 거문도, 초도, 손죽도, 연도에만 있을 뿐입니다. 지난 2015년에는 가거도에서 응급환자가 발생했는데, 인계점이 아니라는 이유로 출동하지 못한 닥터 헬기 대신 인근 해경 헬기가 출동했다가 추락하는 사고도 있었습니다. 운용 지침상 기장이 구조대랑 협의해서 인계점을 바꿀 수 있지만, 대형 재난으로 다수 사상자가 발생한 경우만 가능합니다.

더 큰 문제는 그나마 지정돼 있는 인계점 관리도 엉망이라는 겁니다. 일부 인계점에는 안전한 착륙을 방해하는 고압선이 지나가거나 농·어구는 물론 배까지 널려 있는 곳도 있습니다. 이처럼 이착륙장에 문제가 있어 출동하지 못한 사례가 지난 2015년부터 올해 8월까지 80건에 달합니다.

■ "인계점 집착하는 나라 우리나라뿐" 5백억 원 쓴 닥터 헬기, 이름값 할 수 있어야..
[리포트+] 이국종 '헬기 쓰는 이유 알아야
닥터 헬기를 직접 타는 아주대학교병원 이국종 교수는 SBS 취재진과의 인터뷰에서 인계점과 관련해 답답한 부분이 많다고 말했습니다. 이 교수는 "인계점에 집착하는 데는 전 세계에서 우리나라밖에 없다"며 "최소한의 안전공간만 확보되면 어디든 내려앉을 수 있는 게 헬기의 장점"이라고 지적했습니다.
[리포트+] 이국종 '헬기 쓰는 이유 알아야
(취재: 민경호, 최고운 / 기획·구성: 송욱, 장아람 / 디자인: 감호정)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