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은행에 뭉칫돈…1∼5월 정기예금 39조 증가, 불안한 미래 탓?

올해 5월까지 은행 정기예금 증가 규모가 이미 작년, 재작년 연간 증가액을 웃도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한국은행에 따르면 예금은행 정기예금 잔액은 5월 말 기준 656조 5천 132억 원으로 집계됐습니다.

이는 지난해 말보다 39조 433억 원 늘어난 수준입니다.

1∼5월 누적 기준으론 2010년 이후 가장 빠른 증가 속도입니다.

올해 5월까지 증가액만으로 작년(30조 4천933억 원)은 물론 재작년(17조 4천224억 원) 연간 증가액을 훌쩍 넘어서기도 했습니다.

은행 정기예금이 빠르게 불어난 것은 지난해 7월 유동성 커버리지 비율(LCR·Liquidity Coverage Ratio) 산정기준이 강화했기 때문이라는 분석이 나옵니다.

LCR은 금융기관에 유동성 위기가 발생하더라도 30일 동안 감내할 수 있는지 보여주는 지표로, 금융당국은 은행 건전성 관리 강화를 위해 이 비율을 강화해오고 있습니다.

한은 관계자는 "은행들이 LCR 강화에 대비하기 위해 예금 등을 조달해 채권 등 금방 현금화할 수 있는 자산을 확충하는 것으로 보인다"고 설명했습니다.

그러나 불안한 미래 탓에 안전자산으로 돈이 몰리는 것이라는 시각도 있습니다.

은행의 신규취급액 기준 정기예금 가중평균 금리가 1.81%(5월 기준)로 1%대를 벗어나지 못하고 있는데도 예금으로 돈이 몰리고 있기 때문입니다.

금융시장 변동성이 커지고 주식시장이 흔들릴 것으로 예상하면, 가계는 수익률이 낮더라도 원금 손실 없이 안전한 은행 정기예금으로 자산을 몰아두려는 성향을 보입니다.

불확실성 확대는 기업들에도 은행 정기예금을 늘리는 요인으로 작용합니다.

금리가 오를 것으로 전망한 기업들이 회사채를 발행해 미리 자금을 조달했으나 미래가 불투명해 선뜻 투자하지 못한 경우 은행 정기예금에 돈을 맡기게 됩니다.

실제로 한은에 따르면 회사채는 2016년 6조 7천억 원 순상환, 2017년 3조 5천억 원 순 상환됐으나 올해 들어선 1∼6월 4조 6천억 원 순발행 (상환<발행)으로 전환됐습니다.

기업들이 회사채로 자금을 조달했음에도 투자에 나서지 않아 유동자금이 정기예금으로 흘러들었다는 분석이 가능한 대목입니다.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