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건강리포트] '초기부터, 하나씩'…자폐성 장애인 홀로서기

베토벤의 피아노 소나타 월광의 선율이 사회 복지관에 흐릅니다.

연주자는 스물네 살의 송상윤 씨.

[송상윤/자폐성 장애인 : 어메이징 그레이스하고 아라베스크요. (왜 좋아해요?) 음악이 아름다워서요.]

송 씨는 자폐성 장애인입니다.

이상한 행동과 큰 목소리 때문에 친구들에게는 늘 놀림을 받아 왔습니다.

그래서 혼자서는 집 밖에 나오려고도 하지 않았습니다.

하지만 어머니와 몇 번이고 지하철 타기를 반복한 결과 지금은 혼자서 원하는 곳 어디든 갈 수 있습니다.

[송상윤/자폐성 장애인 : (뭐 하실 때가 제일 재밌어요?) 심부름할 때요. 도와드리면 엄마가 좋아하시니까요.]

[남 영/송상윤 씨 어머니 : 처음부터 아이를 거리에 내놓을 수는 없고요. 30cm씩 이렇게 조금씩 조금씩 떼어놓기 위해서 계속 필요한 기술들을 익히고….]

100편의 논문을 저술한 세계적인 동물학자 템플 그랜딘 박사도 자폐성 장애인입니다.

동물에 유난히 집착해서 친구들과 어울리지 못했었는데 어머니의 도움으로 사람들과의 일상생활에 적응하면서 단점이 뛰어난 장점으로 뒤바뀐 겁니다.

[유희정/분당서울대병원 소아정신의학과 교수 : 그것을 부정적으로 생각하고 없앨 것이 아니고, 그것을 활용해서 자기와 공통의 관심사를 갖고 있는 친구들을 찾을 수 있는 방법을 가르쳐 주는 것이….]

국내 연구에서도 사회 기술을 익히고 사람들과 어울릴수록 자폐증세 치료 효과를 높일 수 있다는 게 확인됐습니다.

치료는 빠를수록 좋습니다.

[반건호/경희대병원 소아 정신의학과 교수 : 성인이 되면서 다른 정신장애에 노출될 가능성이 굉장히 많습니다. 그래서 초기부터 치료를 해주는 게 예후를 더 좋게 만드는 데 가장 중요한 이유 중의 하나입니다.]

국내에 등록된 자폐성 장애인은 1만 5천 명이지만, 등록되지 않은 장애인이 훨씬 많은 것으로 추정하고 있습니다.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