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화마에 생채기 난 산림…"20년 지나도 복원 안 돼"

화마에 생채기 난 산림…"20년 지나도 복원 안 돼"
전국 곳곳에서 동시다발적으로 발생한 화마가 백두대간에 큰 상처를 남기고 있다.

전문가는 피해를 본 산림의 경우 20년이 흘러도 생태계가 완전히 자연복구 되지 않는다고 지적했다.

국립산림과학원 삼림보전복원연구과 강원석 박사는 6일 산불피해지 생태계변화와 회복 과정에 대한 모니터링 연구 결과를 설명했다.
산불로 훼손된 산림(왼쪽)의 20년 후 모습(오른쪽)
해당 자료는 강원도 고성과 삼척의 산불피해 산림을 20년간 관찰한 내용을 담은 것이다.

산림생태계는 생물 종류에 따라 회복 속도가 달랐다.

소나무 숲의 키는 20년이 지나도 피해를 보지 않은 곳에 31%에 불과했고, 참나무 숲은 그나마 60% 수준으로 복원됐다.

산불 뒤 토양 유출량은 2년 정도까지 매우 많아 산사태 우려를 낳았다.

불이 난 숲의 계곡에 사는 어류는 3년이 지나야 제자리로 돌아왔다.

수서 무척추동물은 9년, 개미류의 경우 13년이 걸렸다.

강 박사는 "동물의 경우 숲이 이전과 유사해져야 비피해지에서 유입돼 최소 30년 이상은 필요하다"면서 "산림 토양은 회복은 가장 오래 걸리는데 숲 생태계 순환 속 동물과 미생물의 활동이 있어야만 예전 수준의 회복이 가능하다"고 말했다.

불이 휩쓸고 간 숲이 놀라운 생명력을 보여줄 때도 있다.

강 박사는 "강풍으로 불이 훑듯 지나가면서 나무 겉면과 지표면만 피해가 나고, 탄 물질들이 떨어져 유기성분이 되며 피해 복구를 돕기도 한다"면서 "하지만 서서히 태우고 지나가면 이마저도 소용이 없다"고 말했다.

소방청에 따르면 2016년부터 지난 4일까지 4천337건의 산불이 발생했다.

2016년 1천321건의 화재로 444만6천여㎡가 불탔고, 2017년 1천467건 1천366만7천여㎡, 2018년에는 993건 709만8천여㎡가 피해를 입었다.

올해는 지난 4일까지 556건의 화재가 발생해 555만9천여㎡가 불에 탄 것으로 집계됐다.

결과적으로 2016년부터 올해 4월 현재까지의 피해면적을 합산하면 3천77만1천여㎡에 달한다.

여의도 면적의 10.6배 규모의 숲이 사라진 것이다.

(연합뉴스/사진=연합뉴스, 국립산림과학원)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