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내가 아이 낳을 때, 남편의 이곳을 묶었다…각국의 전통들, 왜?

출고 : 2018.12.27 11:05 | 수정 : 2018.12.27 11:08
뉴스에는 위아래가 없다 - 스브스뉴스

아내가 아이 낳을 때, 남편의 이곳을 묶었다…각국의 전통들, 왜?

아내가 애를 낳는데 왜 여기를 묶어?!

#스브스뉴스

아내가 아이 낳을 때, 남편의 이곳을 묶었다…각국의 전통들, 왜?

한 여성의 출산 장면을 묘사한 멕시코 후이촐 부족의 그림. 그런데 자세히 살펴보니…

#스브스뉴스

아내가 아이 낳을 때, 남편의 이곳을 묶었다…각국의 전통들, 왜?

분만 전, 밧줄을 남편의 고환에 묶고 아내가 산통을 느낄 때마다 그 밧줄을 잡아당기게 하는 전통을 그린 작품입니다.

#스브스뉴스

아내가 아이 낳을 때, 남편의 이곳을 묶었다…각국의 전통들, 왜?

여성만 느낄 수 있는 출산의 고통을 남편 역시 느껴보라는 목적에서 비롯된 풍습이라는데…

#스브스뉴스

아내가 아이 낳을 때, 남편의 이곳을 묶었다…각국의 전통들, 왜?

해괴망측해 보이는 이 행동. 사실 우리나라에도 비슷한 풍습이 있었습니다.

#스브스뉴스

아내가 아이 낳을 때, 남편의 이곳을 묶었다…각국의 전통들, 왜?

바로 ‘지붕 지랄’ 풍습입니다. 아내가 산통으로 고통스러워할 때마다 남편이 지붕 위로 올라가 같이 비명을 지르며 발을 구르는 거죠.

#스브스뉴스

아내가 아이 낳을 때, 남편의 이곳을 묶었다…각국의 전통들, 왜?

이처럼 출산의 고통을 조금이라도 함께하기 위해 망측한 일이라도 남편이 기꺼이 해야 한다는 건 우리 조상들이나 멕시코 부족도 똑같았습니다.

#스브스뉴스

아내가 아이 낳을 때, 남편의 이곳을 묶었다…각국의 전통들, 왜?

지금은 이런 풍습 대신 산통을 최대한 줄이기 위해 무통분만 등 갖가지 의학 기술이 발달했지만

#스브스뉴스

아내가 아이 낳을 때, 남편의 이곳을 묶었다…각국의 전통들, 왜?

일부 사람들은 무통 분만을 불로소득과 비교하거나 종교적인 이유에 따라 무통 분만을 거부했다는 경험담을 공개해 논란을 빚기도 했습니다.

#스브스뉴스

아내가 아이 낳을 때, 남편의 이곳을 묶었다…각국의 전통들, 왜?

논란에 대한 판단은 개인의 몫입니다. 다만 옛사람들은 그저 출산이 언제 어디서든 남녀 모두의 몫이라는 진리를 전하고 싶었던 것 아닐까요?

#스브스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