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는 사이비 기자가 아닙니다

출고 : 2016.09.28 08:08 | 수정 : 2017.02.06 17:23
뉴스에는 위아래가 없다 - 스브스뉴스

나는 사이비 기자가 아닙니다

나는 사이비 기자가 아닙니다

#스브스뉴스

나는 사이비 기자가 아닙니다

1991년 8월 어느 날, 일본의 한 10년 차 기자가 취재차 한국에 왔다가 충격적인 이야기를 접하게 됩니다.

#스브스뉴스

나는 사이비 기자가 아닙니다

“붙잡혀서 끌려가면 당하면서도 어찌나 기가 막히고 가슴이 아프고... 말이 안 나와요.” - 故 김학순 할머니 17살 꽃다운 나이에 일본군에게 속아 위안부로 끌려갔다는 한 할머니의 이야기였습니다.

#스브스뉴스

나는 사이비 기자가 아닙니다

할머니의 이야기는 1991년 8월 11일, 일본 아사히 신문의 사회면 톱기사로 보도됐습니다. 기자의 이름은 우에무라 다카시.

#스브스뉴스

나는 사이비 기자가 아닙니다

이 기사의 주인공인 故 김학순 할머니는 3일 뒤 기자회견을 열고 위안부 피해 사실을 세상에 처음으로 알렸습니다.

#스브스뉴스

나는 사이비 기자가 아닙니다

위안부 피해 사실을 한국보다 먼저 보도한 이 기사의 파급력은 대단했습니다. 이후 피해자 200여 명의 증언이 잇따랐고 위안부 문제가 국제적으로 주목받기 시작했습니다.

#스브스뉴스

나는 사이비 기자가 아닙니다

“위안부 문제를 조작해 일본의 명예를 실추시킨 날조 기자” 하지만 보도 이후 우에무라 기자는 일본 극우 세력에 의해 ‘날조 기자’, ‘매국노’로 내몰렸습니다.

#스브스뉴스

나는 사이비 기자가 아닙니다

“날조 기사를 쓴 아사히 신문의 전 기자가 대학교수가 된다.” - 2014. 2. 6. 주간문춘 그리고 2015년 1월, 퇴직한 우에무라 기자는 교수 임용이 예정돼 있던 대학교에서도 임용 취소 통보를 받았습니다.

#스브스뉴스

나는 사이비 기자가 아닙니다

우에무라 씨 임용에 대한 비난 전화와 편지가 쇄도하자 대학 측이 임용을 취소한 것입니다.

#스브스뉴스

나는 사이비 기자가 아닙니다

우에무라 씨가 가장 힘들었던 때는 바로 어린 딸이 협박을 받았을 때입니다.

#스브스뉴스

나는 사이비 기자가 아닙니다

딸의 사진이 인터넷에 공개되면서 각종 인신공격이 몰아쳤습니다. 딸은 ‘왕따를 당하길 바란다’, ‘자살하라’는 말도 들어야 했습니다. 심지어 살해 위협까지 받았습니다.

#스브스뉴스

나는 사이비 기자가 아닙니다

“과거로 돌아간다고 해도 똑같이 기사를 썼을 겁니다.” - 우에무라 다카시 20년이 넘도록 온갖 협박과 불이익에 고통받은 우에무라 씨. 그는 다시 과거로 돌아가도 똑같이 행동했을 것이라고 말합니다.

#스브스뉴스

나는 사이비 기자가 아닙니다

“역사의 진실을 회피하지 않고, 역사를 교훈으로 삼아 잘못을 반복하지 않겠다는 게 가장 중요하죠.” - 우에무라 다카시

#스브스뉴스

나는 사이비 기자가 아닙니다

그는 올 초부터 가톨릭대 초빙교수로 한국에 와 강의하고 있습니다. 일본 정부가 위안부 문제를 교과서에 기록하고 젊은 세대에게 교육해야 한다고 말합니다.

#스브스뉴스

나는 사이비 기자가 아닙니다

그는 일본 정부가 할 일은 소녀상을 없애는 게 아니라 일본인의 마음속에 소녀상이 새겨지도록 힘을 쏟는 것이라고 강조합니다.

#스브스뉴스